18.227.228.95
18.227.228.95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결과기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Level: Focused 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신선임 ( Sun Im Shin ) , 김수임 ( Soo Im Kim )
상담학연구 14권 5호 2681-2697(1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422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정체감, 결과기대, 진로장벽 간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로정체감,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결과기대가 갖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경기지 역 4년제 대학생 55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진로장벽을 통하여 진로결정수준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과기대는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는 미래 진로에 대한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할수록 진로결정 과정에 있어서 진로장벽에 대 한 지각을 덜 하게 됨을 보여준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상담에서의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identity,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level and outcome expectation. For this, we examined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barriers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lso the study tested the moderated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among career ident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 559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eongki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career barriers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Furthermore, outcome expectation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barriers, not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se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who expected the more positive outcome of their future perceived less career barriers and had high career decision level. It implies that career counselors need to consider not only perceived career barriers but also outcome expectation to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or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in the current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