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2.244
18.222.22.244
close menu
KCI 등재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안태용 ( Tae Yong Ahn )
상담학연구 14권 5호 2751-2781(3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426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중년기 한국인의 발달특성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적응유연성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 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적응유연성, 중년기 발달특성, 한국의 문화적 특성 에 대한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중년기 한국인에 대한 개방형 조사를 통해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 성의 잠정적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을 내적보호요인과 외적 보호요인으로 나누고, 각각을 별도의 예비척도로 제작하였다. 본 예비척도는 이후 전국의 성인 500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4요인(의미추구 및 좌절 인내, 새로운 도전과 계속적인 자기계발, 자기 돌보기, 조화로운 관계추구) 26문항의 내적 보호 요인척도와 3요인(가족지지, 사회경제적 지지환경, 가족 이외의 사회적지지) 14문항의 외적 보호요인 척도를 완성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완성된 척도로 전국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요인구조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인타 당도,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본 척도는 심리적 탄력성척도(The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 RS), 심리적 안녕감척도(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중년기 생활만족척도(The Middle Years Life Satisfaction Scale)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본 척도는 중년기 한국인의 적응유연성 측정에 필요한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완성된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the construct of "Korean Midlife Resilience" was examin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s related to resilience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both Midlife and Korean culture. The construct of resilience was divided into two types - ``Internal protective factor(IPF)``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EPF),`` - which led to two subscales. This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500 Korean adults in midlif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PF scale consisted of 4 factors (26 items). The four factors were ``Pursuit of Meaning and Perseverance,`` ``New Challenge and steady effort of Self-Development,`` ``Self-Care,`` and the ``Pursuit of Harmonious Relationships.`` The EPF scale consisted of 3 factors(14 items). The three factors were ``Family support``, ``Social Economic Status and Social System for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econd, the fit of factor structur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different sample of 1000 Korean adults in midlife, revealed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both subscales were appropriate. Also,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isting resilience scales such as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RS)``. In addition, the Korean Midlife Resilience Sca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The Middle Years Life Satisfaction Scale``. However, it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In conclusion, this scale showed adequat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needed to measure Korean midlife resilience.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