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12.220
18.221.112.220
close menu
KCI 등재
從音義關係探討朝鮮時期諺解類資料中的異讀字 -以《小學諺解》中的異讀字爲例
렴재웅
중국언어연구 48권 155-180(26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94475

본 논문은 音義關係의 관점에서 16세기 諺解類 문헌인 《小學諺解》의 異讀字와 漢語의 異讀字간의 비교를 통해, 16세기 諺解類 자료에 반영된 한국한자음의 이독자의 音韻學的 層次를 살펴보고, 漢語史의 어느 시기의 異讀字와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小學諺解》가운데 漢語의 音義關係를 비교적 명확히 반영하고 있는 15개의 異議異讀字를 선정하였고. 이 15개의 이독자를 수록한 《小學諺解》의 예문을 이용하여, 각 異讀字의 音義關係를 정리하였다. 한편, 漢語異讀字로서의 地位와 각 시기별 音義關係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漢語의 각 시기별 韻書 또는 音注書를 참고해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音義關係에 따라 韓漢音을 비교한 결과, 16세기 韓國漢字音의 異讀字는 아래와 같이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漢語의 音義關係를 반영하는 경우; 둘째, 漢語의 音義關係를 반영 하지는 않으나 漢語의“濁上變去” 또는 韓國語의 “音節偏向”의 영향을 받은 경우; 셋째, 漢語의 音義關係를 반영하지는 않으나 漢語近代音 가운데 異讀音의 어는 한쪽이 消失되어, 추후에“音節偏向”의 영향을 받은 경우이다. 韓國漢字音의 層次의 측면에서 보면, 첫 번째에 해당하는 韓漢音 異讀字는 漢語史에서 上古音後期의 異讀字를 반영하고, 두 번째에 해당하는 韓漢音 異讀字는 漢語中古音의 異讀字를 반영하며, 세 번째의 韓漢音 異讀字는 漢語近代音의 音義關係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