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6.176
3.149.26.176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로모형 분석
Validation of a Path Model for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박영숙 ( Yeong Sook Park ) , 권윤희 ( Yun Hee Kwon )
UCI I410-ECN-0102-2014-500-00195356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요인 및 경로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예방적 관리 및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로 시도되었다. 경로모형에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이었다. 즉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성 및 영향요인으로 보고된 우울(Yoo, Son, & Nam, 2008), 우울과 외로움(Kwon, 2009),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회적지와 우울(Kang, 2010), 교사관계위기(Park, 2010), 교육관계(Hwang Bo, 2011) 변인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가 간접효과 변수이었는데 직접효과 수준이 일상생활 스트레스 0.21, 삶의 문제 0.27에 비해 간접효과 수준이 일상생활 스트레스 0.21, 삶의 문제 0.19로 나타나 직접효과보다 작은 효과이었다. 이는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특성으로 볼 수 있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는 심리, 사회적 특성인 사회적 지지와 우울을 반드시 매개하지 않고도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직접경로를 통해 더 많은 영향이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를 감소시키는 방안 모색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매개변수인 심리, 사회적 특성인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 -0.12, 우울의 직접효과 0.54로 나타나 외생변수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 감소 뿐 만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Park (2010)의 연구에서 학교흥미위기, 학교성적위기, 친구관계위기 등 다양한 학교위험요인의 직접영향을 받는 우울 매개변수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한 것과 유사한 맥락이다. 그러나 본 연구와 선행연구는 직접변인과 매개변인의 적용이 동일하지 않아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을 포함한 추후연구를 통해 결과의 일반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총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우울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삶의 문제,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자살생각을 64.1% 설명하였다. 이는 변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변인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수준이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는 Yoo, Son과 Nam (2008)의 결과와 비교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설명할 수 있는 공통변인도 있지만 다른 변수를 추가적으로 규명한 것과 더불어 더 높은 설명력을 보고한 것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학교위험요인을 외생변수, 부정적 자아존중감, 우울감, 회피적 대처를 내생변수로 하여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를 확인한 Park (2010)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삶의 문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심리적 특성인 우울과 사회적 특성인 사회적 지지를 내생변수로 하여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전반적인 생태환경을 고려하여 자살생각을 확인한 본 연구와 상이하였다.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직접적인 형향을 준 변인은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로 확인되었다. 즉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가 적을수록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고 우울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Bronfenbrenner (1979)의 생태체계이론에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외체계인 사회적 환경요소, 미시체계인 가족, 학교 환경요소가 유기체 요인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서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직접 효과가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여, Kang (2010)의 연구에서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부적상관이 있었다는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는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단순 상관관계만을 제시하고 있어 인과관계를 보고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비교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반복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직접효과가 나타난 결과는 원인적 관계를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Kang (2010)의 연구맥락과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삶의 문제가 사회적 지지에 대해 직접효과가 나타난 것은 동일 변수로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확인한 것은 아니지만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갈등, 문제행동과 사회적 지지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연구결과(Sung, 2008) 및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 피해경험과 사회적 지지 상과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Kang, 2011)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삶의 문제보다 효과가 더 높았으며, 이들 변수는 사회적 지지를 12.1% 설명하였다. 또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삶의 문제보다 효과가 더 높았으며, 우울을 52.5%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변인으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예측력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및 대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본다. 이상의 결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문제에 따른 문제 발생에 대한 완충적 역할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지적인 교육, 상담에 대한 지침서와 인성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친구, 가족, 교사들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계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예방대책은 현실적으로 시급한 사안이므로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가 공조하여 다양한 전문가들의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효율적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itness of a path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daily life stress, problem of lif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47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Daily life stress, problem of lif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showed 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while daily life stress and problem of life showe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Daily life stress and problem of life showed direct effects 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hypothetical path model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as proven correct.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s the reduction of daily life stress, problem of life, depression and enhancement social support in order to preventi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