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197
3.144.113.197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WHO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근거한 전국 중,고등학교의 건강증진학교 운영유형
Clusters of Health-Promoting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WHO Guidelines
고영 ( Young Ko ) , 이인숙 ( In Sook Lee )
UCI I410-ECN-0102-2014-500-00195359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연구대상 중·고등학교의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의거한 수행점수는 59.05±11.93점으로 중간수준의 수행을 보였으며,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활동능력이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요소였고, 학교 보건 및 건강증진 서비스, 학교의 물리적 환경, 학교의 사회적 환경, 학교보건정책, 지역사회 연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행을 보이며, 지역사회 연계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는 점에서 기존 국내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Kim, 1998; Sohn et al., 2008). 또한 홍콩 중학교에서 학교의 물리적 환경, 학교의 사회적 환경, 학교보건정책 영역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지역사회 연계에서 가장 낮은 수행을 보였다는 결과(Lee et al., 2007)와도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활동능력에서 가장 높은 수행정도를 보인 것은 기존 연구와는 차이를 보이는 결과로 체육교과는 기존에 수행되어 왔지만 2007년 이후 학교보건법의 개정으로 보건교과의 정규 교육화로 인하여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활동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모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운영수준을 보인 ‘건강증진학교 운영 이전단계’에 포함될 가능성이 보건교사가 없는 경우, 고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는 중학교가 고등학교에 비해 건강증진학교 실천이 높았다는 기존 연구결과(Kim, 1998; Lee et al., 2012)와 일치한다. 입시위주의 교육체계로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 부족으로 보건교육이 잘 시행되지 않는다는 점(Kim, 2009)을 통해 볼 때 교육정책에 학생들의 건강을 우선적 목표로 포함시킴으로써 교육제도의 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2012년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 보건교사 배치율이 각각 51.3%, 66.8%로 낮은 수준이고, 특히 지역사회 자원이 적은 농어촌 지역과 학급수가 적은 경우에서 보건교사가 배치되지 않아(MOEST, 2012) 기본적인 건강증진학교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점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과 교사의 다양한 건강요구에 맞는 건강증진 및 보건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교사훈련 및 교사협력이 낮게 조사된 본 연구결과는 ‘학교 건강증진 및 보건 서비스’ 영역에서 학교간 격차가 크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하다(Lee et al., 2007). 보건교사 경력이 길수록 학교보건서비스의 제공이 활발하며, 연령이 많은 경우에서 지역사회 연계가 원만하고, 1급 자격연수를 받은 경우에서 사회적 환경이나 개인건강기술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Kim, 1998) 보건교사의 배치와 더불어 교육훈련의 제공하는 것은 기본적인 건강증진학교의 운영과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요구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교사훈련을 제공해야 한다(Leger, 1998). 건강증진학교 운영유형을 분류한 결과 지역사회 연계는 집단간 차이를 보이며, 모든 학교에서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중소도시 학교에서 ‘참여와 정책개발 단계’에 비해 ‘서비스 단계’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는 본 연구결과는 중·고등학교에서 농촌이 도시에 비해 건강증진학교 수행수준이 높다는 연구결과(Lee et al., 2012)와 지역별 건강증진학교 운영점수에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Lee et al., 2009). 그러므로 반복연구를 통해 지역적 특성과 건강증진학교 운영수준과의 관련성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받게 되며, 학교에서의 건강증진의 효과가 가족과 지역사회 주민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음(Rowe et al., 2007)에도 불구하고, 건강증진학교 운영에 있어 지역사회 연계는 가장 향상되기 어려운 영역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2007). 지역사회와의 동반자관계 유지보다는 지역사회 자원의 획득이라는 의미로 지역사회 연계를 이해하고 있어 지역사회 연계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Leger, 1998) 중소도시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연계의 본연의 의미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학교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학교운영 교사와 지역사회 전문가의 팀 접근을 통한 참여, 주인의식 고취 및 협력체계 구축, 가족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활동 강화 등의 전략을 적용한다면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건강증진 학교 참여 및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겠다. 학교보건정책 또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구성요소였다. 건강증진학교 운영을 위해서는 운영수준에 따라 중앙정부조직에서 포괄적인 학교보건정책을 수립 및 정책이 실현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Lee et al., 2007). 전체 학교보건정책 항목 중 ‘위기상황대응계획’과 ‘응급의료계획’의 실천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은 학교보건정책 중 사고 시 응급처치나 재난시 안전대피 정책 수행을 저조하다는 기존 연구결과(Lee, Chung, Han, Lee, & Kwon, 2003)와 일부 일치한다. 청소년의 사망원인에서 자살과 안전사고가 1, 2위이며(Statistics Korea, 2011), 안전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에서 청소년의 안전사고가 높다는 점을 볼 때(Lee & Park, 2004), 학교를 포함한 가정, 지역사회에서의 안전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학교의 물리적 환경과 학교의 사회적 환경에 높은 수행을 보인 학교는 ‘참여와 정책개발 단계’에 포함 되었다. 이를 통해 학교보건정책과 지역사회연계와 더불어 학교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의 조성 상황이 건강증진학교의 높은 운영수준을 나타내는 특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서비스 단계’에 속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보건 정책 수립 및 학교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학교건물, 운동장, 내부구조를 강화하는 정책과 법규의 제정, 지침서를 구비함으로써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높은 실천을 보였다는 연구결과(Lee et al., 2007)를 볼 때, 물리적 환경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실제적인 지침서를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학교의 물리적 환경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의 사회적 환경 조성은 아동과 청소년의 자기 존중감, 건강 관련 행위, 학습결과를 증가시키며(Coggans & McKeller, 1995), 교사의 지지적 관계(Park & Kim, 2001), 의사결정에 학생의 참가(Hyman & Perone, 1998) 등의 인간적이며 학생을 존중하는 접근법이 교내 폭력을 감소 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교사를 대상으로 양적 평가지표만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강증진학교 운영현황을 확인하고 운영유형을 구분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건강증진학교 운영평가에 있어서 다양한 참여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문서 검토, 참여관찰, 교과과정 검토, 학생과 교사의 초점면접 조사, 학교교직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건강증진학교의 운영현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전국을 대표하는 자료를 얻기 위해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표본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자료수집과정에서 교사의 설명회 불참, 설문 미참여, 불충한 설문지 작성 등의 이유로 전체의 45%의 학교의 자료만 분석에 포함되어 전국을 대표하는 결과로 일반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셋째, 건강증진학교 운영도구 개발에 있어 연구팀과 10개교의 보건교사가 WHO 건강증진학교 구성요소와 미국질병관리본부에서 제안한 학교건강지표를 예비조사를 수행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나, 설문도구에 대한 방법론적으로 강건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의 건강증진학교 운영유형을 파악하고, 학교 간 격차를 보이는 건강증진학교 운영내용을 확인하여 향후 건강증진학교 운영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uster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s Web-based Survey. Methods: The tool of health promoting school was developed based on a framework for action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in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Schools Health Index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by 2 professionals and 2 health teachers and revised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from teachers who attended the conference run by Korean Centers for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2009. The data of 363 school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OVA.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three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Clusters differed significantly in presence of health teacher, location, and type of schools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a good reference in developing tailored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which will help improve health-promoting schoo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