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36.203
13.59.36.203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a Resident Volunteer as a Lay Health Leader for Elders`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최연희 ( Yeon Hee Choi ) , 김나영 ( Na Young Kim )
UCI I410-ECN-0102-2014-500-00195365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경로당 소재 동네의 65세 이상 경로당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노인 자조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체력(악력, 정적 균형도,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지역의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건강리더를 선발, 양성하여 경로당 노인들이 지역 주민인 건강리더를 통해 친숙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인자조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력(악력, 정적 균형도, 복합적 이동능력)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와 대상자 연령이 비슷하고 같은 운동 프로그램(백세 체조 하나, 둘, 셋)을 적용한 Sunwoo 등(2008)의 연구와 Yang 등(2010)의 연구에서 악력과 한발 들고 서있기(정적 균형도), 복합적 이동능력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교육을 받은 자원봉사자들에 의한 운동 프로그램도 전문가에 의해 실시한 운동 프로그램과 같이 노인의 체력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와 같은 기간과 횟수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과 비슷한 근력중심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같은 연령의 농촌 노인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Park 등(2011)의 연구에서는 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와는 달리 복근과 대퇴를 강화하는 운동 중심으로 저항운동을 구성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적용한 프로그램은 대상자에게 맞게 손목, 발목에 샌드밴드(모래주머니)를 이용하여 상지와 하지의 근력이 골고루 강화될 수 있도록 운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신 근력을 나타내는 악력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에게 있어 악력은 체력의 향상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에(Sunwoo et al., 2008) 노인의 근력 운동 프로그램 구성시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측정 지표가 되어야 할 것이며, 상지, 하지의 근력운동이 적절히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것은 같은 우울 측정도구를 사용한 Shon과 Yoo (201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여성노인에게 레크레이션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Kim (2010)의 연구와 에어로스텝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Kim 등(2009)의 연구에서는 같은 우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지만 통제군과 운동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 개의 프로그램은 8주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의 운동 프로그램의 기간인 12주보다 기간이 짧았던 이유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의 프로그램은 운동을 지도하는 건강리더가 지역 주민이기때문에 대상자는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느꼈을 것이며, 요구 사항이나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더욱 편안한 마음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건강리더도 지역 주민인 대상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대상자의 요구 사항이나 상태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대상자의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일반인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매뉴얼과 동영상이 제작되어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교육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대상자들은 자신감을 가지고 부담없이 쉽게 배울 수 있었을 것이며 이 또한 우울 수준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지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노인의 인지기능과 운동과의 관련성에 관련된 연구는 운동이 인지기능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연구(Kramer et al., 2006; Shon & Yoo, 2010)도 있고 인지기능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연구(Shin et al., 2002)도 있다. 그러나 Shin (2009)의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을 세부적으로 나누어서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전두엽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군이 전두엽 인지 기능 중 주의 집중력, 즉각 기억력, 지연 기억력, 언어 유창성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단기 기억력과 전두엽 운동기능에서는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과 인지기능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추후 연구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본 연구와 대상자 연령이 비슷하고 같은 운동 프로그램(백세 체조 하나, 둘, 셋)을 적용하고 같은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한 Sunwoo 등(2008)의 연구와 Yang 등(2010)의 연구에서도 삶의 질에서 실험군의 운동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와 같은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와 비슷한 근력강화운동(100세 행복장수운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Kim과 Lee (2009)의 연구와 Kim과 Ha (2011)의 전화코칭과 방문운동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운동 프로그램은 상기된 바와 같이 체력을 증가시켜 삶의 질 측정내용 중 건강상태, 신체활동 제한, 신체적 통증 등 신체적인 측면에서 삶의 질 점수가 향상되었을 것이며, 동네 주민이 건강리더로서 참여하여 익숙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방문운동이나 전화 코칭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느낄 수 있는 친밀감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에 심리적 문제로 인한 괴로움, 심리적 이유로 인한 일상적 활동 제한, 사회활동 제한 문항에서 심리적 측면의 삶의 질 점수가 향상되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같은 지역 주민이 참여하여 전문 교육을 받고 운동 프로그램을 매뉴얼대로 실시하여도 체력(악력, 정적균형도, 복합적 이동능력), 인지기능, 우울 수준,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본 연구결과는 운동지도사가 운동을 지도한 Sunwoo 등(2008)의 연구, Yang 등(2010)의 연구결과와 전문 교육을 받은 자원봉사자 활용에 의한 본 연구결과가 일치하였는데 이것은 예산, 인력,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보건 여건에서는 매우 의미있는 결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60세가 넘는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캐나다 연구(Stolee, Zaza, & Schuehlein, 2012)에서도 대상자의 근력, 유연성, 균형성,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건강 프로그램 적용에 있어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이점을 강조하여 본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하였다. 건강리더와 관련된 국내 논문은 매우 미흡한 실정으로 Gu 등(2012)의 연구는 경로당내 노인을 건강지도자로 선정하여 노인 건강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이는 건강리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교육된 건강리더가 교육을 하였을 때 대상자에게 건강의 향상을 나타내었는지에 대해 검증하였고 특히 그 지역 주민인 자원봉사자를 건강리더로 활용하였다는 점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2010년 자원봉사센터 운영현황(MOSPA, 2011)에 의하면 자원 봉사 센터가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전문적인 교육이 어렵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러한 자원 봉사 인력에게 보건 간호 인력이 적극적으로 건강과 관련된 전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있는 체계가 구축된다면 효율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고 지역사회 공공보건의 측면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에서 운동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할 실정임을 감안해 볼 때 지역의 자원봉사 센터를 연계하여 우수 건강리더를 발굴하여 지역사회에서 홍보를 강화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활동을 지원한다면 이러한 지역 주민의 건강도우미로서의 건강리더가 확산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보건간호 인력들은 일반인들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러한 해당 지역의 자원 봉사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12주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에도 실험군, 대조군의 경로당 모두에서 건강리더에 의해 지속적으로 본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는 본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노인 자조 운동 프로그램에서의 건강리더는 지역 주민과 지역 보건소의 보건의료인과의 의사소통의 통로의 역할과 건강리더와 지역 주민과의 접근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현재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의 지속성의 어려움과 프로그램 진행자와 대상자 간의 이해도 부족, 지역주민과 보건의료인과의 의사소통 부재 등의 문제점의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파트 부녀회, 통장단 등 지역 주민을 활용한 자원 봉사자의 참여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독려하고 자원 봉사체계를 잘 구축한다면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역 주민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일개 시의 편의표집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노인에게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 exercise program using a lay health leader for elderly participants. The test covered physical fitness (grip strength, static balance and complex movement abilities),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Methods: A quasi- 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ere 62 elders from an institution for the aged, of whom 30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2 in the control group. The exercise program using a resident volunteer as a lay health leader was run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t-test, paired t-test, and ANCOVA with SPSS/WIN 19.0. Results: After the program, left grip strength (F=1.77, p<.001), right grip strength (F=9.97, p<.001), static balance (F=2.79, p<.001), ability to move complex (F=1.76, p<.001), depression (F=7.66, p<.001), the cognitive function (F=8.39, p<.001) and quality of life (F= 1.08, p<.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using a resident volunteer as a lay health leader was effective. It can be recommended as a public health resource and for consistent and comfortable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commun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