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56.140
3.15.156.140
close menu
KCI 등재
중등학교 예비 교사의 교수 대화 분석 연구 -국어과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 - 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nversation
김중수 ( Jung Su Kim )
국어교육학연구 48권 153-183(31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93463

본고의 목적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중등학교 국어과 예비 교사의 교수 대화를 분석하여 현상을 점검하고 예비 교사를 위한 교수 대화 교육에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교과의 문법 영역 수업을 대상으로, 예비 교사들이 교육 실습을 나가기 직전의 수업 시연에서 사용된 교수 대화를분석하였다. 교수 대화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Gagne의 수업사태,Chevallard의 교수학적 변환의 세 관점에서 살펴보았더니 예비 교사의 교수 대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예비 교사들이 주의 집중과 흥미 요소 활용을 잘 하므로 이 점을격려, 칭찬해 주는 것이 좋고, 비지시적 발언 비율을 높이도록 하며 학생의자발적인 참여 발언 비율을 높이도록 훈련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의 발언을 수용하여 다음 학습 내용으로 연결하도록 하며그것을 다른 학생들의 발언으로 이어주는 대화법을 익히도록 한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 발생하였을 때, 학생의 학습 지향적인 대처와 함께 수업진행 지향적인 대처의 필요성도 인식시킬 필요가 있고,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구안하는 것을 권장하되, 너무 전달 방법 자체에 매몰되어 학습 내용이 메타 인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의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예비 교사들이 발문 후 학생이 머뭇거리는 시간을 기다리지 못하고 힌트를 줘서 원하는 답을 이끌어 내거나 학생의 무의식적인 반응을 학습의 성취로 과장되게 해석하지 않도록 학습자의 반응을 기다리고, 반응을 확인하는 연습을 하게 한다면 중등학교 예비 교사를 위한 수업 대화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implications for teaching convers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I analyzed teaching conversation in korean grammar lessons that were demonstrated by seniors in college of education. Threr are three point of view, to analyze teaching conversation, Flanders`s verbal interaction, Gagne`s instructional events, and Chevallard`s didactic transposition. Suggestions are as follows: At the very first, encourage and inspire them because they are good at gaining attention and presentation the material. Second, train them to accrete indirect statements ratio and to lead student initiated talk. Third, improve thier conversation skills to accomodate student`s comments, and then to connect them to following learning content or to make students compare with other student`s comments. And pre-servic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for ‘leading students to a teaching plan’ at the ‘unpredictable situations’ in class. Moreover, they should note not to occur meta-cognitive shift when they develop teaching material. At the conclusion, after questioning, pre-service teachers couldn`t wait hesitating time of the student, so they led to the answer to giving a hint and they tend to interpret exaggeratedly student`s unconscious reactions as academic achieve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