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104.214
3.139.104.214
close menu
KCI 후보
『삼국유사(三國遺事)』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의 신화적 특징과 그 의미
The My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s of "Dohwanyeo Bihyeongrang" in Samkukyusa
엄기영 ( Ki Young Um )
한국문화연구 25권 37-60(24pages)
UCI I410-ECN-0102-2014-900-001563464

『삼국유사』 <도화녀 비형랑>은 신화적 특징과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주인공인 비형랑의 인물 형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화녀 비형랑>에는 비형랑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 과정에서의 고난 그리고 초월적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신성성을 입증하고 마침내 畏敬과 信仰의 대상이 되는 과정이 그려져 있으며, 이는 건국시조신화의 주인공과 유사한 면모이다. 이러한 사실은 두 가지를 의미한다. 하나는 <도화녀 비형랑>이라는 텍스트 형성에 정치적인 의도와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도화녀 비형랑>에는 다양한 층위의 복수(複數)의 텍스트들과 시각들이 병존하고 있으며, 이는 텍스트 내부에 모순과 균열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화녀 비형랑>의 의미를 사륜왕, 길달, 비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정란황음”으로 인해 폐위 당한 사륜왕과 “성제” 사륜왕 사이의 모순은,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신화적 구성을 갖춘 이야기를 선택한 결과이다. “충직무쌍”하던 길달과 여우로 변하여 도망치려 했던 길달 사이의 모순은 비형과 길달의 유사성 및 이들이 왕위를 둘러싼 대립 관계에 있음을 주목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사륜왕-진평왕-임종의 관계는 비형-진평왕-길달의 관계로 되풀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앞부분에서 정치적인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던 비형은 뒷부분에 가서는 정치적인 성격을 잃어버린 채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서만 남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김춘추가 즉위하여 김용춘이 문흥대왕으로 추증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신문왕 대에 이르러 五廟制를 통해 사륜왕의 폐위가 공식적으로 부정되고, 유가 이념에 기반한 새로운 정치체제를 필요로 하는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서 이루어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itcle is to give a new analysis of ‘Dohwanyeo(桃花女) Bihyeongrang(鼻 荊郞)’ in Samkukyusa(三國遺事) by focusing on the my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s which till now researches didn`t give attention to. Bihyeongrang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hero of myth-his sacred birth, sufferings in growth process, transcendental power and turning into a god. These facts has two meanings. One is that there were the political intentions, the other is that there were antinomy in ‘Dohwanyeo Bihyeongrang’. So I examined the meanings of ‘Dohwanyeo Bihyeongrang’, focusing on King Jinji(眞智王), Kildal(吉達) and Bihyeong. King Jinji had two looks-“disordered and promiscuous king” and “good and wise king”, these resulted from the process of justifying King Muyel(武烈王)`s succession to the throne. Kildal, a loyal retainer changed his figure into a fox and ran away, but he was killed by Bihyeong. It emblematize that Kidal was Bihyeong`s rival i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character of ‘Bihyeong’ is political in forepart, but god of folk belief in the end part. This change had begun in the time when Kim Yongchun(金龍春) was conferred honors posthumously and Bihyeong was separated from Kim Yongchun in the reign of King Shinmun(神文王) when King Jinji`s dethronement was denied officially and new political structure based on Confucianism was on the ri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