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38.125
18.218.38.125
close menu
KCI 등재
조선후기 여성들의 말과 글 그리고 자기표현 -국문장편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eaking, writing and self-expression of women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In priority on Korean Classical full-length novel-
정선희 ( Sun Hee Jeung )
UCI I410-ECN-0102-2014-800-002067997

고전문학에서의 여성의 자기표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산문 기록과 규방가사, 기녀들의 가사들에 대해서 이루어졌기에, 그 범위를 넓혀 국문장편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사용한 ‘자기표현’이라는 말은 화자가 자기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하거나 자신의 감정과 정서 상태,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가리킨다. 국문장편 고전소설의 초기 작품인 <소현성록>, <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논하면서, 보조적인 여성인물들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조씨삼대록>을 함께 고찰하였다. 소설은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이 굴절되어 드러나기도 하지만, 이 유형의 소설은 당시 여성들의 생활과 의식을 비교적 여실하게 담아 그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므로 이를 통해 조선후기 여성들의 자기표현 양상의 특징과 효과를 알 수 있었다. 국문장편 고전소설 속 여성 인물 중에는 자존감이 강한 여성들이 존재 하는데, 그녀들은 어려움에 처하거나 마음이 상할 때에 자기의 생애를 회고하면서 정체성을 확인하려 했다. 오해를 받거나 곤란한 지경에 처했을 때에는 대화적인 논변을 통해 설득력 있게 자신의 생각과 상황을 설명하였으며, 여성들끼리 마음을 이야기하면서 위로와 치유를 나누기도 했다. 이러한 여성들의 마음이나 생각의 표현은 여성 인물 자신의 독백, 인물들 간의 대화, 편지, 상소문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즉, 내용의 면에서는 ‘생애 회고를 통한 정체성 표출 - 자존감 회복과 위안’, ‘쟁점에 대한 논리적 주장과 설득 - 말의 힘의 발휘’라는 항목으로, 표현 방식의 면에서는 독백과 생각을 위주로 한 ‘고백적 글쓰기’, 논쟁적 대화와 편지, 상소문을 위주로 한 ‘대화적 글쓰기’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여성들의 자기표현은 대체로 ‘위로와 치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았는데, 이는 우리가 글을 쓰거나 말을 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 대해서 다른 관점을 갖게 되기도 하고 상실감이나 결핍감을 보충하기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여성들의 자족적이고 포용적이고 논리적인 표현 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는 징표라고도 할 수 있을 듯하다. 이들 소설이 향유되었던 시기에 중국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 소설들에서 여주인공이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의 삶을 말하여 진실성을 극대화 했던 것처럼, 우리의 국문장편 고전소설들에서도 여성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독자들의 공감과 동정, 대리만족을 불러일으켰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writing and speaking of women that express their thoughts, feeling and lives, recognizing themselves as women in priority on Korean Classical full-length novel. Consequently, female characters express themselves actively when they want to find their self-identities and confirm significance of existence. They find comfort and cure mind by expressing confidence on lives. Women who express their thoughts with firm confidence display power through several questions and answers and dialogues with husband and father-in-law. Lastly, the study examines how female characters express themselves. It contemplates the form of speaking and writing by deviding them into confessional writing and conversational writing. Confessional writing is used in scenes of recovery of identity, monologue about life, concern and sadness. Conversational writing is used in the case of persuasion, defense and the case of a letter and an appea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