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90.167
18.216.190.167
close menu
KCI 등재
여성교훈서『閨곤儀則』과 <홍씨부인계녀(사)>와의 관계 탐색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in Gyugonichik(규곤의측) and Hongssibuingenye(홍씨부인계녀)/Hongssibuin-genusa(홍씨부인계녀사)
김수경 ( Soo Kyung Kim )
UCI I410-ECN-0102-2014-800-002068005

이 논문은 학계에 제목 정도만 알려져 있는 『閨곤儀則』의 이본들을 비교하고, 이 여성 교훈서와 함께 실린 규방가사 <홍씨부인계녀사>(또는 <홍씨부인계녀>)와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閨곤儀則』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한글필사본 여성교훈서이다. 이 책은 1967년 강전섭이 처음 소개하면서 학계에 알려졌으나, 그 원문 내용의 일부가 <홍씨부인계녀사>를 해설하기 위한 자료로 제시되었을 뿐 현재까지 전모가 밝혀진 바 없다. 기존 연구에서는 함께 수록된 <홍씨부인계녀사>라는 작품이 규방가사 작품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 책과 병존하고 있다는 점, 따라서 <홍씨부인계녀사>가 다른 계녀가와 달리 세세한 규범들이 나열되지 않았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즉 구체적인 시집살이의 경계 및 규범에 대해서는 함께 실려 있는 『규곤의측』을 참고하도록 하여 기존의 계녀가와 달리 상당부분이 생략 내지 축약되었고, 그 결과 <홍씨부인계녀사>는 상대적으로 규범적인 내용보다는 정서적 회고적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다. ‘여성에 대한 교훈과 경계’를 공통된 내용으로 하는 여성 교훈서와 계녀가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는 그 동안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왔지만 아직까지는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은 여성 교훈서(흔히 말하는 계녀서)와 계녀가의 관계와 그 의미에 대해서 파악하면서, 이전부터 지속되어온 교훈서들의 맥락에서 『규곤의측』이라는 책의 위상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규곤의측』은 조선 후기에 양산되었던 한글 본 여성 교훈서의 하나로서 가문 내에서 주로 유통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본들을 비교해볼 때, 18세기부터 여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담론이 고조되었던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필사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교훈서와 <홍씨부인계녀(사)>의 관계는 일반적 상황/개별적 경우, 공적인 담론/사적인 발화, 주어진 상황으로서의 교훈/스스로 내게 부여하는 의미로서의 교훈이라고 요약될 수 있다. 필사문화권에서 공유된 담론으로 이루어진 것이 여성교훈서 (『규곤의측』)라면, 이에 ‘나’라는 인격을 투사하여 구체적 언어행위로 구현한 작품이 계녀가(<홍씨부인계녀(사)>)이다. 이렇게 필사자의 인격이 구체적인 언어행위로 구현된다는 점으로 인해, 당시의 규방가사는 필사자들이 기존 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기화하는 문학행위이자 교양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고 본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corre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in Gyugonichik(규곤의측) and Hongssibuin-genusa(홍 씨부인계녀사). They were put in the one book together, and seems to be written at the same time. Until now, Hongssibuin-genusa(홍씨 부인계녀사) have been studied, Gyugonichik(규곤의측) have not been found. But this thesis found three different versions of the Gyugonichik(규곤의측), the version from Gyujang-gak(규장각) in Seoul National University(I put the number to this version, V1), the version from Jonkyung-gak(존경각) in SungKyunkwan University (V2) and the version from National Central Library(V3). There were another version from Kang Jeonsop, that has been only in his article(V4). V1 and V3 are exactly same versions, except that the part of V3 was destroyed. V1 and V2 are totally different versions. V3 seems to be written in 1930, that is far later that V1. V1 has Hongssibuin-genye(홍씨부인계녀) and V4 has Hongssibuin-genusa (홍씨부인계녀사). The 4 version of Gyugonichik(규곤의측) are all written for the general instruction to young girls and bride in the certain family. They told a lot of instructions in detail like ‘how to cook, how to behave, how to service to husband and his family members’ This type of instructions had been a tradition in families to families in Kyungsang-Do area. So The 4 versions of Gyugonichik (규곤의측) had kept that tradition. The characteristics in Gyugonichik(규곤의측) is on the existence and the value of Hongssibuin-genye(홍씨부인계녀) and Hongssibuin-genusa(홍씨부 인계녀사). Hongssibuin-genye(홍씨부인계녀) and Hongssibuin-genusa(홍씨 부인계녀사) also told the instructions to young girls who would be married soon like Gyugonichik(규곤의측). But instructions in Gyugonichik(규곤의측) were more general and common, the instructions in Hongssibuin-genye(홍씨부인계녀) and Hongssibuingenusa( 홍씨부인계녀사) has the characteristics to be more specific and personal relatively. So, Gyugonichik(규곤의측) had the characteristics to be more general, common and public, Hongssibuin -genye(홍씨부인계녀) and Hongssibuin-genusa(홍씨부인계녀사) has the characteristics to be more specific and personal. These characteristics had been resulted by the convention that while the transcribers copied down the version that was general and public, they added the writings that was specific and persona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