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33.87
3.138.33.87
close menu
KCI 후보
카메라 앵글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성 선호도 변화
Analysis of Emotional Preference Subsequent to the Position of a Camera Angle
김종무 ( Jong Moo Kim )
UCI I410-ECN-0102-2014-600-002118528

본 연구는 화면에서 카메라 앵글(Camera Angle) 위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느끼는 감성의 차이를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 이론을 통해 정량화(Quantification)하는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평가 어휘를 참고, 수정하여 위치와 관련된 5개의 쌍을 이루는 감성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총 68명의 감상자에게 로우 앵글(Low angle), 아이 레벨 앵글(Eye level angle), 하이 앵글(High angle)의 카메라 앵글 이미지를 보여주었으며, 오류가 없는 61명의 응답지인 89.7%가 실제로 실험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감상자는 화면에서 카메라 앵글 위치 차이에 따라 다른 감성의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로우 앵글(Low angle) 위치에서 남성은 단순한, 부정적, 여성은 단순한, 불편한 그리고 남·여 모두 공통적으로 단순한에서 가장 큰 감성 어휘 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아이 레벨 앵글(Eye level angle)의 위치에서 남성은 무거운, 긍정적, 편안한, 여성은 긍정적, 편안한 그리고 남·여 모두 공통으로 긍정적, 편안한에서 가장 큰 감성 어휘 선호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하이 앵글(High angle) 위치에서 남성은 복잡한, 가벼운, 여성은 복잡한 그리고 남·여 모두 공통으로 복잡한에서 가장 큰 감성 어휘 선호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이미지나 영상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앵글의 위치를 선정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This research on the quant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emotions fel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a position of a camera angle on a screen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rew up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and revision of the vocabulary for emotions evaluation used in the preceding research and extraction of 5-paired emotions vocabularies. This research showed a low angle image, eye level angle image, and high angle image to a total of 68 subjects, and 61% of those subjects free of fallacy in responding to questionnaires accounting for 89.7%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actually used for experiment &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bjects showed a different emotion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a camera angle on the screen. Second, the biggest emotions-related vocabulary preference was shown in ``simple, negative`` in case of men; in ``simple, inconvenient`` in case of women and in ``simple`` common to men and women at a low-angle position respectively. Third, the biggest emotions-related vocabulary preference was shown in ``heavy, positive, convenient`` in case of men; in ``positive, convenient`` in case of women, and in ``static, convenient`` common to men and women at an eye-level angle respectively. Lastly, the biggest emotions-related vocabulary preference was shown in ``complicated, light`` in case of men; in ``complicated`` in case of women, and ``complicated`` common to men and women at a high angle respectively. I wish this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time of selecting the position of a camera angle in shooting an image or pictur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