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9.32
18.224.39.32
close menu
KCI 등재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Legal Issue-focused Nursing Records
김영미 ( Young Mee Kim )
임상간호연구 19권 3호 369-382(14pages)
UCI I410-ECN-0102-2014-500-00195431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간호사의 간호 기록에 대한 직무역량(지식, 수행, 행위)을 향상하여 위험부담으로부터 간호사를 보호하고 궁극적으로 환자 돌봄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기 위함이며, 연구방법은 교재개발의 서술적 연구, 도구개발의 방법론적 연구 그리고 교육효과를 분석하는 유사실험 연구방법이 함께 이루어졌다. 1. 법적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구체적인 간호기록작성 지침서와 평가도구를 기존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고, 대부분의 간호교육 담당자들이 ‘법에 대해 아는 게 없어서 교육을 못 한다’고 한 상황에서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 지침을 개발하여 교육을 시도한 것이 시의 적절하였다고 본다.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에서 교육의 횟수, 기간 등에 대한 기준은 없지만 본 연구에서 간호사들이 수행하는 일상적인 일을 법적인 관점에서 실제 사례를 들어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 2시간으로는 부족하였다는 간호사들의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두 시간 이상의 시간을 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며, 임상에서는 한 주제에 대해 보통 1회에 최대 2시간 정도로 교육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기록지에 작성한 수행결과와 행위 모두를 평가하였으므로 Kirkpatrick 모형의 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 결과평가 중 행동평가와 결과 평가 수준의 연구를 하였다고 본다. 선행연구들은 지식뿐 아니라 태도나 수행평가도 대상자의 자가보고형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타인에 의한 객관적인 평가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상사인 제3자에 의해 교육효과를 측정하였으므로 자가보고 자료에 의존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 편의(common method variance), 일관성유지 동기(consistency motif),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 등의 문제 가능성을 피하였다. 2.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분석 지식향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t=10.28, p <.001) 교육프로그램의 학습효과는 입증이 되었다. 65점 만점인 지식측정도구에서 대조군의 사전·사후 최저 점수는 각각 39점으로 전혀 향상이 되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최저 점수는 사전 40점에서 사후 55점(23% 향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학습효과로 평균 점수가 향상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최저 점수를 끌어 올렸다는 것이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본다. 수행향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t=2.53, p =.013), 행위향상에서도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t=3.07, p =.002) 것은 교육프로그램의 궁극적 목적인 직무전이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간호기록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수행과 행위가 향상되었다는 것은 간호실무교육 차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해석되며, ‘피훈련자가 교육훈련의 내용에 대해 실용적이라고 지각할 때 훈련된 지식과 기술을 보다 더 실무에 응용하게 된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며, ‘교육훈련이 참가자의 지식, 태도, 기술의 변화를 통해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Blanchard & Thacker, 1999)라는 교육훈련 유효성의 정의에 부합하였다고 본다. 지식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직무태도(t=-3.32, p =.001)와 현 병동경력(t=2.95, p =.004)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변수가 지식향상에 대해 12%의 설명력(R2)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F=8.45, p <.001), 이는 Kim (1997)의 연구에서 개인 및 상황적 특성의 독립변수들이 교육훈련 유효성에 대한 설명력이 10~20% 수준이었던 결과와 비슷 하였다. 수행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 병동경력(t=-3.39, p =.001)으로, 수행향상에 대해 9%의 설명력(R2)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12.53, p =.001). 행위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태도(t=-3.46 p =.001)로, 행위 향상에 대해 9%의 설명력(R2)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11.97, p =.001). 이러한 결과로 본 교육프로그램은 현병동경력이 적은 직원들에게는 수행향상 효과가 컸으며, 직무태도 점수가 낮은 직원들에게는 지식향상과 행위향상 효과가 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현병동경력이 많을수록 우수집단에 속한다는 연구결과 (Song et al., 2006)에 의하면 본 교육프로그램은 현 병동 경력이 적거나 직무태도점수가 낮아 우수집단에 속하지 않는 직원들에게 교육의 효과가 컸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적인 의의를 연구, 실무, 교육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측면에서는,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지식측정 도구와 수행 · 행위평가 도구를 최초로 개발하여 앞으로 연구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발판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교육효과를 평가하는 선행연구의 방법들이 자가보고형 평가임에 반해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해 제3자 평가방법으로 객관적 평가를 하였다. 실무측면에서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간호기록 실무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게 된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의료분쟁과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법적인 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연구는 시기적으로도 적절했다고 본다. 교육측면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홍보되었고, 본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므로 간호조직의 교육 커리큘럼에 포함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해 간호사에게 교육을 하고 싶어도 마땅한 교재가 없어서 못하고 있는 간호조직에 간호현장에서 바로 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간호기록 작성방법 지침서와 간호기록 작성방법 지식측정 도구를 제공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없어서 연구 전반에 걸쳐 비교할 수 없었고, 일개 대학 병원만 대상으로 하였다는 것이 이 연구의 제한점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n nursing records especially focused on legal issues,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nurses` knowledge, performance, and behavior. Methods: A textbook on legal issue-focused nursing records and an instrument with 36 items rated on a 5-point scale (1-5) for measuring the nurses` charting-related performance and behavior were developed from November 2007 through March 2008.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Knowledge was self-reported by the Nurse Charting Knowledge Scale, while performance and behavior were measured by their nurse managers.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rom March through May in 2008. A total of 226 Korean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paired t-test, Spearman`s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Nurses who received the intervention showed greater levels of knowledge (t=10.28, p< .001), performance (t=2.53, p=.013), and behavior scores (t=3.07, p=.002)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were ``job attitude`` (t=-3.32, p=.001) and ``career in present unit`` (t=2.95, p=.004). The factor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was ``career in present unit`` (t=-3.39, p=.001). The factor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behavior was ``job attitude`` (t=-3.46, p= .001).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ogram on legal issue-focused nursing records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e charting-related knowledge, performance, and behavio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