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168.172
3.143.168.172
close menu
KCI 후보
매장에서 공간구조 분석 및 소비자 동선 분석과 매출과의 관계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ales and the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and consumer passageway in store
배고은 ( Go Eon Bae ) , 이현수 ( Hyun Soo Lee )
UCI I410-ECN-0102-2014-600-002119338

본 논문에서는 공간구문론을 통해 가구 전문 매장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 실제 매장에서 소비자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전시된 제품의 매출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례 매장을 통해 살펴본 연구의 결과와 의미를 요약하면 첫째, 사례 가구 전시장은 소비자 주 이동 통로가 가장 높은 통합도와 시각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도에 따른 전시특성을 살펴본 결과 중저가 제품은 접근성이 좋을수록 매출이 높게 나오고, 중고가 일 경우 접근성에 따른 매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시각적 개방성에 따른 전시특성을 살펴본 결과 1 층과 2 층의 주요 매출제품 및 트랜드성 제품은 모두 시각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시되었다. 공간의 접근성 및 시각성은 나타내는 통합도는 그 공간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이는 그 매장의 매출 및 제품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판매 제품의 디스플레이를 할 때 공간에 대한 통합도를 알고, 시각적 개방도와 접근성을 고려하여 제품 전시를 함으로써 더욱 공간을 유용하게 설계하고 효율적인 매장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fumiture stores and the passage ways of consumers in the actual stores, to find out their relation to the sales of the displayed products. First, in case display stores, where furniture is displayed in sets, the main passage way has a high unity and visibility, Second, the result of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unity level showed that the sales of the mid/lower price products were higher when the approachability was good, Third, as for displa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sual openness, the flagship products and trendy products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 were all displayed to enhance the visibility. I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spatial approachability and visibility determined the structu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at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sa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at the store. Also, the study proves that the spatial approachability and visibility can be useful in inαeasing the utility of the spatial design by being used interrelated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