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41.6
3.133.141.6
close menu
존 듀이 이론에 기초한 경험디자인의 성립 원리와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and Completion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the John Dewey`s Theory
윤세균 ( Se Kyun Yoon ) , 김태균 ( Tae Kyun Kim )
UCI I410-ECN-0102-2014-600-002119803

디지털 지식정보화 패러다임과 소비자의 경험소비의 경향은 디자인 개발에 있어 제품의 경제적인 생산성, 성능, 사용의 용이성, 매력적인 겉모양 중심의 전통적인 방법 이외에 새로운 관점에서 디자인을 달리 이해할 필요성을 점차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경험(experience)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험디자인을 탄생시켰고, 그 속성과 원리를 이용하는 인터랙션 등에 대한 기초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경험디자인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경험개념과 그 성립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부족해 그 방향성과 방법론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개념과 그 성립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경험디자인의 기초 이론으로 제시하고, 나아가 인터랙선 등 응용 운야와의 활용적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험개념은 프래그머티즘 철학자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중심으로 의미적 차원에서 경험대상과 방법, 과정과 결과, 행위와 사고로 구분하였고, 유형적 차원에서 1차적 경험과 2차적 경험, 직접경험과 간접경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경험의 의미와 유형을 통해 경험의 성립은 궁극적으로 변화성의 원리, 연속성의 원리, 상황성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인터랙션의 기본 원리와 그 관계적 기반을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21st century could be called the age of Experience Economy. Until now the use of products were based on the style and usability, but future design needs to focus on the extended needs of consumers. By focusing on Empiricism and John Dewey`s theory on the experience, life style and its meaning are explored and reinterpreted into the experience design perspective. The newly reinterpreted concepts and arising elements are applied again to the field of design. The theoretical base of experience design is explored and systematized through reviewing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its consisted elements and situation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experience embraces not only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ir environment but also the processes and methods of experiencing. These has been created through experience activity as an extra benefit. The result of such experience has created a few concepts. One is external aspects that create action such as human`s activity. The other is internal aspects that occur while thinking such as mental activity. Experience is formed into the six categories, depending how the five senses are used. The first differentiation is primary experience and secondary experience. The second i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and non intervention of the intermediary. Lastly, the perspective value of quality determines if an experience is positive or negat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