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4.104.173
3.134.104.173
close menu
KCI 등재
동래성전투에 대한 기억서사와 표상-공간의 형성과정 연구
Between "the Military-First(先軍) and People`s Livelihood(民生)" -Criticism of “Literature of Socialist Reality” in North Korea at the Early Phase(2012-2013) of Kim Jeong-eun Era-
전송희 ( Song Hee Jeon )
민족문학사연구 53권 442-467(26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487486

본 연구는 임진왜란의 초기 전투 중 하나인 동래성전투의 기억서사 형성과정과 그 기억을 표상하는 공간인 충렬사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동래성전투는 채 하루도 버티지 못한 패전이었다. 따라서 그 전투의 수장인 송상현은 패장으로 기록되어야 했다. 그러나 三綱의 코드 아래서 체제를 정비하려는 조정의 이해와 부합하여 패장인 송상현의 생애는 ‘忠烈’을 체현한 인물로 재현되었다. 또한 그의 사당을 서원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다시 유학자의 면모를 갖춘 賢人으로 거듭났다. 한편 이와 같은 확장은 송상현외에 목숨을 잃은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동래성전투에서 목숨을 잃은 여러 순절자의 기억이 수습되어 동래성전투에 대한 기억서사로 완성 되었다. 그러나 각 인물들에 대한 기록은 충렬사의 확장에 필요한 사료로서 급히 수집된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새로 발굴된 기록은 신뢰성을 얻기에 부족했다. 이로 인해 새로 발굴된 개인의 기록은 매우 소략하기 그지없었다. 충렬사에 배향된 주요 인물들의 기억서사가 온전히 정리되지 못했던 만큼, 『충렬사지』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각 인물의 기억서사가 다시 쓰이게 된다. 이와 같이 동래성전투의 기억서사는 체제 정비를 위한 三綱의 강조라는 국면과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특정 세력들에 의해 개인의 생애기록을 재편하는 과정을 거듭 거치면서 완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 동래성전투에 대한 기억은 당대의 권력관계 아래서 각각의 기억주체들의 욕망과 이들의 이해가 결부되어 직조된 프레임에 의해 (재)구성된 것이었으며, 그 결과물이 오늘날의 동래성 전투의 표상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ormation of the memory narrative of battle of Dongraecastle, one of early combats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formation ofChoongryeolsa, a place to symbolize the memory. Battle of Dongrae castle was a failurewithout standing even a day. Accordingly, the commander of the battle, Song SangHyeon should have been recorded as a defeated one.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Chosun Dynasty`s interest to keep in order of the system in the code of the three fundamentalprinciples in human relations(Samgang), the life of defeated general Song SangHyeon was represented as a one of who practiced loyal death. And when his shrine wasexpanded to a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to honor distinguished scholars andstatemen(Seowon), he was reinterpreted as a wise man with Confucianist quality. Andthis expansion provoked interests for other peopl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battle. Thenmemories of several honored deaths were collected, completing the memory narrative ofbattle of Dongrae castle. However, these new records were not sufficient to get trust becausethey were suddenly collected for expansion of Choongryeolsa. Therefore, personalbiographies for new collected people were very poor. As memory narratives of main peoplewho were enshrined in Choongryeolsa were not fully completed, when publishing ‘Choongryeolsaji’, some questions were raised and new memory narrative for each personwere rewritten for revision. So the memory narrative of battle of Dongrae castle was accomplishedthrough repeated processes of reorganizing personal biographies by a certaingroup to ensure their own political position and an atmosphere to emphasize human relations(Samgang) for keeping in order of the system. That is, the memory of battle ofDongrae castle was (re)organized by a frame made by desires and interests of each agentof memory in political relations at that time and as a result, it now remains as a symbol ofthe battle of Dongrae cast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