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63.236
18.116.63.236
close menu
KCI 등재
퍼포먼스 미학과 미적 경험으로서의 아우라의 귀환
Die perfermative Asthetik und die Wiederkehr der Aura als die asthetische Erfahrung
심혜련 ( Hea Ryun Shim )
시대와 철학 24권 4호 161-186(26pages)
UCI I410-ECN-0102-2014-100-001521782

이 글의 주제는 퍼포먼스 미학과 이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아우라 회귀에 대한 것이다. 먼저 이 글에서는 퍼포먼스 미학을 소개하고 이 미학이론 안에서 아우라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매체미학은 발터 벤야민을 이론적 선구자라고 여기면서 아우라의 몰락이라는 근본 테제에서 출발한다. 이와 반대로 퍼포먼스 미학은 아우라의 회귀 또는 재 아우라화를 주장한다. 바로 아우라와 관련된 이러한 문제를 토대로 퍼포먼스 미학이 예술의 본질과 미적 경험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비판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미디어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매체미학과 퍼포먼스 미학이 어떤 점에서 대립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행위, 사건 그리고 현존을 중심으로 한 퍼포먼스와 반복을 중심으로 한 매체예술이 결합한다면, 어떤 미학적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In den vorliegenden Arbeiten handelt sich es um die perfermative Asthetik und die Wiederkehr der Aura als die asthetische Erfahrung in den perfermativen Kunst. Deshalb versuche ich hier erstens die Begriff der perfermativen Ashtetik zu untersuchen. Danach mochte ich die Rezeptionen der Aura in den asthetischen Bereichen zu erlautern, insbesonders den Medienasthetik und den perfermativen Asthetik. Der Medienasthetik akzeptiert den Verfall der Aura bei Walter Benjamin, indem sie den Verfall der Aura als eine positive asthetische Erscheinung interpretiert. Im Gegenteil behandelt der perfermative Asthetiker ihn als eine negative Erscheinung, weil fur den perfermative Asthetiker die Aura eine wesentliche asthetische Erfahrung bedeutet. Aus diesem geschilderten Grund versuche ich die beide asthetische Theorie zu vergleichen, vor allem in Bezug auf eine hybride Kunstform, wie Media Perform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