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47.253
3.145.47.253
close menu
KCI 등재
인지주의 작문 이론의 이해와 작문 교육의 실천
Understanding of cognitive writing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education
가은아 ( Eun A Ka )
작문연구 19권 163-194(32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4526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문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 따르면, 쓰기는 필자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인 동시에 다양한 쓰기 전략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또한 쓰기의 모든 과정은 조정하기를 통해 역동적이고 회귀적으로 이루어진다. 인지주의 작문 이론은 작문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인지주의 작문 이론의 영향으로 누구든지 의미 구성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결과보다는 쓰기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작문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게 되었다. 반면지나치게 단절적인 쓰기 기능을 강조했다는 점, 독자를 포함한 작문 맥락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점, 필자의 정의적 측면을 배제했다는 점, 결과물로서의 텍스트를 소홀하게 여겼다는 점 등의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서 단서를 얻어 ‘지금까지 작성한 텍스트 읽기로 내용 생성하기’, ‘자기 질문으로 작문 과제 분석하기’, ‘사고구술로 작문 과정 점검하기’, ‘자신만의 작문 전략 만들어 활용하기’를 작문 교육의 실천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specific action plan based on understanding cognitive writing theory. According to cognitive writing theory, writing is process of composition of meaning, and the problem-solving with various strategies for writing. Every process is also dynamically and recursively performed by adjustment and modification. Cognitive writing theory has provided us with new views on writing education. We, under the influence of cognitive writing theory, have emphasized that first, anyone can be main agents of composition of meaning, second, writ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process of writing rather than the result of writing, and third, various strategies for writing should b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writing. The theory, on the other hand, has obvious limits that it excessively emphasizes fragmentary skill in writing, neglects context, excludes writer`s affective features, and regards text as the product as careless. This study addresses the peculiarities of cognitive writing theory and educational limits, and seeks its educational possibilities. To be more concrete, I suggest several specific action plans for writing education, thes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reating the content by reading the text produced so far,’ ‘analysing the writing tasks by self-questioning,’ ‘checking process of writing by think-aloud method,’ and ‘making my own writing strategies and availing oneself of th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