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71.20
18.191.171.2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신입생의 융 복합적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한 렌즈에세이 쓰기 교수 모듈 효과
Pedagogical Effect of Teaching Module of Lens Essay for Cultivating Freshmen`s Compositional Thinking Ability
김성숙 ( Sung Sook Kim )
작문연구 19권 195-236(42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04531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는 문자를 통한 표현과 소통에 필요한 기본적인 쓰기 문식력을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학술 담론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론화 전략도 교수해야 한다. 렌즈에세이 과제는 이러한 목표에 부응할 수 있는 학술적 쓰기 과제이다. 이 글에서는 국내 대학생에게 아직 생소한 장르인 렌즈에세이 쓰기 과제를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그구체적 절차와 결과물을 소개하고, 학술적 쓰기 과제로서 렌즈에세이가 가지는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거쳐 융 복합적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한 쓰기 교수 모듈을 개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렌즈에세이의 구성 요소로는 필자와 독자, 분석 대상, 그리고 렌즈를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필자의 의도와 독자의 기대를 충족할 렌즈이다. 적절한 렌즈의 선정 여부는 에세이 총점과 .498**(p=.00)의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에세이 총점과 구조 영역 점수 간 상관은 .655**(p=.00), 양식 영역 점수와의 상관은 .533**(p<.05)으로, 에세이 총점을 결정짓는 데에는 구조나 양식 관련 쓰기 지식이 렌즈 적합도보다 더 큰 변별력을 보여 주었다. 즉, 신입생에게는 창의적인 내용을 생성하는 능력보다 창안한 내용을 논리적인 구조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표지와 참고문헌 등 학술 장르 격식에 맞춰정확한 문장을 생성하는 능력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렌즈에세이 교수모듈에서 전반적인 쓰기 지식을 숙달하는 세부 절차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85편의 학생 글에서 개인(37.6%), 소통(34.1%), 학술(28.2%) 등 3개 범주 주제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렌즈에세이 교수 모듈이 신입생 <글쓰기> 과제로서 갖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렌즈에세이 과제를 통하여 신입생은예상 독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주제를 선정하며 목적의식적으로 글을 쓰는, 기본적인 쓰기 과정 지식을 숙달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학문 분야의 개념과 공식 등을 찾아보는 렌즈 탐색 과정을 통하여 인근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잘 알고 있는 전문 지식을 특정 담론 공동체에 속한 독자에게 쉽게 전달하는, 융·복합적 이론화 전략을 익힐 수 있다. 셋째, 비교적 짧은 분량으로 작성된 조별 렌즈에세이 수정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학술 담론으로서 갖춰야 할 내용의 결속력과 구조적 일관성, 양식적 정확성 등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렌즈에세이 쓰기 과제는 신입생에게 범학문적으로 축적된 연구 성과를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시각으로 고찰하게 함으로써 특정 전공 분야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폭넓은 시각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Teachers have to teach the basic literacy competence needed for the freshmen`s writte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the writing class of a university. They also should teach the strategies needed for the academic subject to weave the academic discourse. The Lens essay project which its process and the output are introduced in this article is proper to accomplish these practical needs and academic goals. The factors of the lens essay are the writer, the reader, the object and the len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se is the lens. The degree of proficiency of the lens used in each essay shows meaningful correlation to the quality of its essay(.498**, p=.00). However the score of the ``structure`` has the higher correlation to the quality of the essay(.655**, p=.00), and the ``style``(.533**, p<.05), too. It means that the freshmen have lower capacity to express their creative contents following the logical structure and the register of the academic discourse than the capacity to produce creative content. The themes of 85 essays are shown somewhat even distribution among the academic visions(28.2%), the communication matters(34.1%), and the individual concerns(37.6%). This lens essay project has the following utilities as a academic writing task in the curriculum for freshmen. First, the freshmen could attain the basic writing proficiency during the generating the idea, selecting the theme and writing with intended goal, and could consider the demands of the specific reader. Second, they could broaden their concerns to the contiguous disciplines searching for the proper lens to their essay. More over, they could learn the theory making strategies which are needed to transfer their special knowledge to the readers of the specific discourse community. Third, they become pay more attention to considering the coherence of the content and the structure, and the correctness of the academic genre style. As a result, this lens essay project could be recommended as the inter-discipline writing task for cultivating freshmen`s compositional thinking abi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