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53.5
18.221.53.5
close menu
KCI 등재
부모화와 안녕감의 구조관계분석: 수치심,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Sham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강선모 ( Sun Mo Kang )
상담학연구 14권 6호 3409-3431(2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463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화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치심,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설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고,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4곳의 대학과 4곳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집된 데이터는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안모형이 더 적합하였다. 대안모형은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보여준다. 첫째, 부모화(돌봄)과 부모화(불공평)은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치심,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모화(불공평)은 자기효능감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 번째, 부모화(돌봄)과 부모화(불공평)은 순차적으로 수치심과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부모화(돌봄)과 부모화(불공평)은 순차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부모화, 수치심, 사회적지지,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안녕감의 변량 중 56%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ham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well-being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To achieve these result, A total of four competing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s were proposed based on bot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supports. A total of 926 participants from four universities and four college in Busan and Kyeong-Nam, South Korea responded to fiv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parentification, sham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or well-being.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descre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ru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an hypothesized models has the best fit for the data. The comparative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had not only an impact on well-being directly but also either just through sham or self-efficacy. But parentification-injustice didn`t affect self-efficacy directly. Second,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had an impact on well-being through both shame and self-efficacy in sequence. Third,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had an impact on well-being through bo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sequence, but there was no direct effect from social support on the well-being. Finally, parentification, sham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ccounted for 56% of the variance of well-be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