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02.214
3.15.202.214
close menu
KCI 후보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과 외국인 노동자 운동 -이중적 시민사회와 정치적 기회구조
Foreign Labor Policies and Migrant Workers Movements in Korea and Japan -Focus on Dual Civil Society and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이병하 ( Byoung Ha Lee )
기억과 전망 29권 264-306(4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9050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왜 한국과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와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저숙련 산업의 노동력 부족현상에 대응하여 이민 송출국에서 이민 수용국으로 전환하는(migration transition) 비슷한 조건 속에서 서로 다른 외국인 노동자 정책의 길을 가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양국의 국가-사회 관계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이중적 시민사회라는 개념을 통한 외국인 노동자 운동의 정책적 영향력과 운동이 처한 정치적 환경 즉 정치적 기회구조의 차이에 주목하여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 간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외국인 노동자 운동의 정책적 영향력 측면에서 한국의 시민사회는 과거 민주화 운동의 경험을 통해 국가에 대항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면서 성장해왔고 그 결과, 중앙정치 차원에서 강한 정책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이중적 시민사회’ 논의에서 보이듯, 중앙정치 차원에서 정책의 변화를 추동해내는 영향력이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 운동이 처한 정치적 환경의 측면에서도 한국은 상대적으로 부처 간 경쟁이 심했던 데 비해, 일본은 부처 간 경쟁이 크지 않아 외국인 노동자 운동이 정치적 연합을 형성하여 영향력을 발휘할 호의적인 환경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 운동의 영향력과 정치적 환경의 차이가 두 나라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이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원인이었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divergence in foreign labor polic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research tries to figure out the puzzle why Japan is still maintaining the restrictive foreign labor policy to import the foreign workers, yet Korea is moving toward more open policy even though Korea began with a carbon copy of the Japanese policy. To explain this puzzle, I place special emphasis on migrant workers movements in terms of dual civil society, and intra-governmental competition as a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in both countries, and then examine political coalitions between state and migrant workers movement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licy divergence in foreign labor policies was made possible because intra-governmental competition in Korea was more critical than that in Japan, and the Korean NGOs succeeded in making political coalitions while the Japanese NGOs failed to make policy-networks with the governmental agencies. Additionally, political activism in Korea has played a huge role in national policy-making because the Korean civic groups are rooted in the history of strong political opposition to dictatorship. Meanwhile, Japan`s dual civil society, an abundance of local NGOs and a dearth of large advocacy groups at the national level, facilitates the localized patter of state-society relation. Therefore, the Japanese civic groups in support of policy shift have not produced reforms of national polic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