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3.228
18.119.133.228
close menu
KCI 등재
정헌(貞軒) 李家煥의 물명(物名)에 관한 관심과 그 실천 -『정헌쇄록(貞軒鎖錄)』과 「잡설(雜說)」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e, Gahwan`s Interest of the Name of a Thing and Practice -Focused on 『Jeongheonswaerok(貞軒鎖錄)』 and 「Jabseul(雜說)」-
정은진 ( Eun Jin Jeoung )
한자한문교육 33권 227-269(43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89912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한자를 유입하여 표기 문자로 사용하였지만, 중국과 달리 표기문자와 음성 언어를 달리하는 이원적 구도를 지니고 있었다. 조선시대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자가 표기문자의 대표적 수단이었기 때문에, 지식인들은 한자나 한자어로 된 물명을 어떠한 우리말로 대체시킬 것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조선후기 실학자들은 소중화의식의 확장·고증학의 발달 등의 영향으로 철학적 담론이나 경세적 주제 외에도, 자학·물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 물명을 우리말로 풀이한 다양한 저서 『物譜』『才物譜』 등이 출현하였다. 그런데 과연 18세기 조선사회에서 통행되고 있던 한자나 한자어로 된 물명이 과연 우리말과 일치했던 것일까? 아울러 당시 통용되었던 물명류의 저작이 과연 철저한 고증을 거치고 오류를 시정한 다음 저술된 것일까? 라는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본고는 이점에 유의하여 李家煥(1742~1801, 자 廷藻, 호 貞軒·錦帶)을 주목하고자 한다. 이가환은 茶山 丁若鏞(1762~1836)과 함께 18세기 조선의 대표적 실학자이다. 하지만 1801년 辛酉邪獄에 연루되어 죽음을 맞이했던 비운의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문학이나 천문·수학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내면서 正祖(1752~1800)에게 깊은 신뢰를 받았다. 이 외에도 그는 한자교육과도 관련 있는 자학이나 물명에도 관심이 깊었다. 이에 필자는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이가환의 저작 『貞軒쇄錄』과 「雜說」을 중심으로, 李家煥의 物名에 관한 관심과 그 실천적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헌쇄록』은 일본 동양문고 『東稗洛誦續』에 전하고 있고, 「잡설」은 국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詩文艸』에 수록된 것으로 두 저작은 상호 관련된 작품이다. 『貞軒쇄錄』과 「雜說」은 물명류의 저서 형태를 띤 것도 아니고 물명을 우리말로 직접 풀이한 것도 아니다. 『정헌쇄록』은 이가환의 독서 잡기류로, 그 안에는 의복·음식·제도·가옥에 관한 기록 외에도 우리말과 물명의 어원을 고증한 부분이 있다. 이에 반해 「잡설」은 한자나 한자어로 된 물명 등에 대한 정확한 재해석과 오류 시정이 핵심을 이룬다. 곧 이가환은 이 두 저작에서 물명의 원뜻은 무엇이고 우리말은 무엇인가를 철저히 고증하면서, 18세기 時俗에서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오류를 지적하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두 저작에는 학문 제영역과 일상에서의 이가환의 철저한 탐구심과 고증적 학문태도가 돋보인다. 아울러 당대 이루어지고 있는 物名에 관한 문제점과 방향도 읽을 수 있다. 이가환은 철저한 고증을 토대로 물명을 비롯하여 기타 영역에서도 原義를 철저히 궁구하는 학적 자세가 필요하며, 절대 오류를 답습하거나 견강부회를 하는 식의 학습태도를 지양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왜냐하면 물명이나 기타 한자어 연구는 단순 물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영위하는 예절과 교양이면서 국가의 경영 곧 백성들의 목숨을 좌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가환이 제기했던 이 같은 문제의식과 방향은 비단 物名 분야에 국한된 문제일 뿐 아니라, 학문 제반 영역에서 궁구해야할 자세로 생각된다. 이 외에도 『정헌쇄록』과 「잡설」은 1795년경에 작성된 것으로, 丁若鏞의 『竹欄物名考』(19C).李學逵의 『物名類解』(19C).柳僖의 『物名攷』(1824年) 등의 저작에도 영향을 주었다. 곧 이가환은 1801년 삶을 마감했지만, 그의 정신과 학문은 그의 조카 이학규·후배 정약용 등에 이어져 조선후기 실학의 또 다른 지류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The Joseon Dynasty had dualism of written letters and vocal language since inception of Chinese character. Scholars had concern on how to translate the Chinese-charactered name of things into Korean because it is common to use the Chinese character even after Korean character was invented. Especially the Sillhak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tudying not only the philosophical discourse but also the graphonomy and the name of a thing and they were influenced by the growth of little Sinocentrism perception and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During this process, they produced many kinds of books in which Korean name was translated into from Chinese name. For example, the books of 「Mulbo(物譜)」 and 「Jaemulbo(才物譜)」 were written. But there is still some questions. First, "Is the name of a thing in Chinese character matched exactly with the spoken Korean in 18th century", Second,"Is this book of the name of a thing written after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and revising errors". I will give an attention to Mr. Lee, Gahwan(1742 ~1801) based on this point. Lee, Gahwan is a representative Silhak(實學) scholar with Jeong yakyong(1762~1836) of the 18th century. But he is a misfortune man killed in the involvement of Sinyuoksa(1801). He made his mark in the literature, astronomy and mathematics, and was trusted very much from King Jeongjo. Above this, he was interested in the graphonomy and the name of a thing related much with Chinese education. So I have an intention to study Lee Gahwan`s interest of the name of a thing, focusing on 「Jeongheonswaerok(貞軒쇄錄)」 and 「Jabseul(雜說)」 which did not receive attention. 「Jeongheonswaerok(貞軒쇄錄)」 is remained in Dongyangmungo of Japan and 「Jabseul(雜說)」 is handed down only in Simuncho of Korea national library, and these two books are inter-related closely. 「Jeongheonswaerok」 and 「Jabseul」 have no structure of the name of a thing and don`t explain the name of a thing in Korean language. 「Jeogheonswaerok」 and 「Jabseul」 is not the book like books showed above which explain the meaning in Korean language. 「Jeongheonswaerok」 is a kind of short book report and in this book there is the part which explains the apparel, food, system, hosing, and the etymology of Korean and Chinese-charactered names. 「Jabseul」 focused on the exact reinterpretation and correction about the Chinese- charactered names. He verified what i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name of a thing and what is translated into in Korean language. He want to rectify the misuse of the name of things. This is the prestep for writing a book about the name of things. Lee, Gahwan`s work, 「Je ongheonswaerok」 is handed down in Dongyangmungo of Japan, and this book is related with 「Jabseul」. The subject material of 「Jeongheonswaerok」 is contained partially in Jabseul. These two works show Lee, Gahwan`s spirit of inquiry and historical research. In addition, the problem and direction on the name of a thing could be found in these two works. He thought the academic attitude of seek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name of a thing was needed and the study attitude of sophistry or following the same bad methods should be rejected, because the study of the name of a thing do not merely stay in the name of a thing but it could be the etiquette and the base which might determine the life of people. From this view point, the theme and direction proposed by Mr. Lee, Gahwan are considered not only in what attitude we should educate the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but also the attitude we should keep in all areas of study. Except for this one, Jeongheonswaerok and Jabseul were written in about 1795 and these two books influenced 「Juklanmulmyunggo(竹欄物名考)」 of Jeong, yakyong and 「Mulmyungryuhae(物名類解)」 of Lee, hakgyu. Even though Lee, Gahwan passed away in 1801, his spirit was handed down to his nephew, Lee hakgyu, his junior, Jeong, yakyong, and established the basis for a different kind of Silhak(實學) in late 18C.

1. 문제제기 및 貞軒 李家煥
2. 貞軒家의 실학적 사고와 物名 연구
3. 貞軒의 고중적 학문 태도와 物名 분석
4. 貞軒이 인식한 18세기 物名의 문제와 지향점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