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67.225
18.217.67.225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전공계열을 고려한 대학도서관 공간계획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Application Elements in Academic Librarie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 Field
장아리 ( Ah Ri Chang ) , 황연숙 ( Yeon Sook Hwang )
UCI I410-ECN-0102-2014-600-002121870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를 통해 공간계획요소를 개발하여 대학생의 전공주제를 고려한 대학도서관의 디자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이라는 특성상 대학도서관의 이용자들은 뚜렷한 전공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전공주제에 따라 학습양식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학습양식에 적합한 학습환경이 필요하며 이는 이용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습양식 및 전공계열에 따라 공간요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들을 구분하여 차별화 된 자료실을 계획해야 한다.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를 위해 대학생 총 143명의 설문응답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계열에 따라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이공계열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보다 중요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이공계열 학생들은 디자인 관련 요소에 대해 중요하게 여겼으며,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사회적 요소에 대해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현재 획일적으로 계획되어 있는 대학도서관 학습환경을 대학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전공주제별 이용자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할 것이다. 도출된 공간계획요소를 평가도구로 하여 향후 대학도서관의 공간평가와 이용태도조사를 통해 전공주제에 따른 차별적인 공간모델 계획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t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factors for subject reference libraries within academic libraries. The study will be based around the evaluation of data collected from 143 surveys carried out by students on a diverse rang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meaningful distinctions in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of spatial factors across majors and departments. As a general rule, students in the natural sciences valued their spatial factors more than students in the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The former group especially appreciated design factors, whereas the latter group focused on the social aspects of their studies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outcome of these results and allow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udy spaces, which are currently uniform, so that they may reflect the needs of each unique field of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