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0.192
18.227.0.192
close menu
KCI 등재
불안의 인식 구조 -하이데거의 불안 개념과 유식의 사분설을 중심으로-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Angst -Heidegger`s Concept of Angst and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안희정 ( Hui Jeong An )
인문논총 71권 1호 189-216(28pages)
UCI I410-ECN-0102-2014-000-001557896

이 글은 불안의 인식 구조를 하이데거의 불안(Angst) 개념과 유식의 사분설(四分說)을 통해 정립하고자 한다. 불안은 무화작용(das Nichten)으로 존재를 드러내는 현상적 토대이다. 이러한 근본기분은 세계 곁에서 머무르던 존재자를 세계 내에서 존재할 수 있도록 밝혀준다. 유식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란 물음 하에 식의 전체적인 구조를 드러낸다. 그것은 집착과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유식 불교의 반성적 대답이다. 이러한 두 이론은, ‘존재론적’ 측면에서 전체 현상을 밝혀내기 위한 구조적인 분석이다. 본론에서는 단계, 과정, 토대로 나누어 불안의 인식 구조를 살펴본다. 첫째, 불안을 지각하는 단계로 유식의 사분설 인식작용을 도입해본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이라는 기분(상분相分)→불안하다고 생각하는 나(견분見分)→불안의 이유를 묻는 나(자증분自證分)→질문하는 나를 지각하는 나(존재자에게 불안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 존재의 영역을 자증분에게 가리킨다), (증자증분證自證分)> 둘째, 불안한 기분을 경험하는 비본래적인 존재자의 양상을 살펴보고 무화작용에서 드러나는 일상의 무의미성과 망상을 알아본다. 이러한 무의미와 망상을 통해 불안의 인식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비본래적인 과정을 밝혀본다. 셋째, 인식 방향을 바꾸어 대상을 지각하는 인식 작용이 아닌 심층의식에서 불안을 형성해가는 작용을 살펴본다.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and establish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gst through Heidegger`s concept of angst and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Angst is a fundamental phenomenon that arises from nihilism (das Nichten). This fundamental feeling reveals to the being that he exists not only next to but also within the world in which he lives. Buddhism manifests the overall structure through raising questions such as “Is the subject perceived objectively?” This is the Buddhist Vijnapti-matra`s reflection on its perception of obsession and pain. In an ontological aspect, these two theories are the structural analysis that attempt to reveal the overall phenomenon. First of all,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is applied as the initial stage in which angst is perceived by the being. The conclusion drawn is as follows: the feeling of angst (mental phenomena) a perceiving oneself to be anxious (discrimina- ting such phenomena)a questioning why one is feeling angst (the power that discriminates) a perceiving oneself that is questioning the why (the proof or assurance of that power). Second, the paper examines the condition of the inauthentic being that experiences angst and investigates the meaninglessness of the routines of everyday life that emerges from nihilism. Through such exploration of futile delusions, the paper strives to reveal the inauthentic process that occurs within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angst. Third,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ngst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method of perception from cognition to in-depth awareness.

1. 문제제기
2. 불안의 인식 구조- 사분설
3. 불안의 과정- 무의미와 망상
4. 불안의 토대-아뢰야식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