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7.96
18.119.107.96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제” 에 대한 메타적 접근-
“Actuality” a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김창원 ( Chang Won Kim )
새국어교육 98권 7-34(28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7060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실제’의 본질과 역사를 살펴보고, ‘실제’가 지닌 다면성과 다층성을 분석한 뒤, 교육과정의 ‘실제’를 국어 교육의 실제로 구현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학교 교육은 본질적으로 실제성과 추상성의 긴장 위에 서 있다. 이 긴장을 해소하는 장치가 교육과정의 ‘실제’이며, 국어과 교육과정은 6차에서 처음 ‘실제’를 제시한 이후 2012년 교육 과정에 이르기까지 ‘실제’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실제 국어 현상은 의사소통 모형을 참조하여 텍스트의 실제성, 매체의 실제성, 맥락과 행위의 실제성, 문화. 담론의 실제성 측면에서 ‘실제’화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다시 여러 층위로 나타난다. 이러한 다면성과 다층성은 교과서와 교수-학습에서 모델 제시, 자료 제시, 상황 제시, 전략 요구, 산출 요구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그 과정에서 ‘실제’는 지식. 기능. 태도. 맥락. 매체와 긴밀하게 관련을 맺는다.

Through this paper, I looked at essence and history of ‘Actuality’ that takes huge par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lso, I analyzed various and multi-layered aspects of Actuality and searched ways to realize authenticity of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teaching.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tension between reality and abstractness. Actuality is what settles this tension, and from the first announcement of Actuality in the 6th curriculum and up to 2012 curriculum,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trying to get positive responses. However, Actuality holds ingrained dilemma since it is a replica of real language usage. By using the model of communication as a reference, language curriculum can be designed centrally using authenticity of ``text``, ``media``, ``context and act``, and ``discourse and culture``. Each of these holds multi-layered aspects. The various and multi-layered aspects of Actuality are realized by showing models or texts, definitizing contexts, and asking some strategies or outputs from the textbooks and lectures. From this process, Actuality gains clos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skill, attitude, context and media in Korean language teaching.

1. 서론
2. 국어의 실제와 교육과정의 ‘실제’
3.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의 다면성과 다층성
4. ‘실제’의 구현에 관련되는 변인들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