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187
3.135.183.187
close menu
KCI 등재
판화매체와 사진의 역할
Reinterpretation of Photograph in Printmaking Media
김승연 ( Seong Yeon Kim ) , 석유선 ( You Seon Seok )
UCI I410-ECN-0102-2014-600-002033419

매체란 라틴어로 미디움(medium)에서 유래되었고,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매개한다 혹은 매개물 자체``의 뜻을 가졌으며, 소통을 위해 중간에 개입해서 매개하는 수단, 혹은 장치를 말한다. 인간의 문자, 이미지(회화와 판화) , 그리고 현대의 디지털미디어에 이르기까지 무엇과 무엇의 사이에서 소통하기 위해 생겨난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논문은 15세기의 판화매체와 19세기의 사진 그리고 20세기 지금의 영상매체를 통해 과학기술로 시작하여 예술로 승화되고 재매개화 재매개화remediation; 마셜맥루한, 볼터와 그루신이 이야기한 개념으로 이전의 매체형식이 새로운 매체내용으로 끊임없이 재매개를 통해 자신의 성격을 적극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매체로 낡은 매체가 수용되는 것을 말함. hyper매개나 비매개의 두가지형식을 가짐. 한 과정을 따라가며 아주 오래전 발명된 판화매체가 앞으로 어떤 융합과 창발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매체가 시대에 따라 변화되면서 매체철학이 더불어 발전되며, 본 논문은 맥루한에서 시작하여 볼터와 그루신에 이르는 재매개화 이론을 중심으로 써나가고자 한다. 그리고 판화나 사진이라는 아날로그 매체시대를 거쳐 보다 많은 정보들을 공유하는 디지털매체시대를 맞이하였다. 디지털은 소리, 이미지 또는 문자를 디지트(digit)라는 비물질적인 정보의 형태로 기록하고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흐름들 속에서 본 연구자는 특별히 사진이 판화매체 안에서 어떻게 재매개 되었는지, 나아가서는 판화와 사진 그리고 디지털 매체의 융합에 의한 판화 표현의 확장가능성에 대해 현재 어떤 시도들이 있는지를 다각도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The word "medium" is derived from the Latin medium, which refers to "conveying or conveyor of something from one side to another," intervening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is notion is inclusive of everything, from text and images (painting and printmaking) to modern digital media, that has emerged for communication between one thing and another. By following the process of sublimation and remediation from science into art in 15th century printmaking media, 19th century photography and 20th century image media, this thesis researches what kind of convergence and emergence is possible in the medium of printmaking, which was invented so long ago. While the philosophy of media is further developed with the changes in media and time period, this thesis focuses on the remediation theories of McLuhan, Bolter and Grusin. Printmaking and photography, seen through the age of analogue media, ushered in the digital media age of information sharing. "Digital" refers to sound, image and text that is recorded and shared in the form of immaterial information. Digital art started with Nam Jun Paik`s video art and has now developed into interactive art, where the viewer enters the exhibit and interacts with the artist`s program so the artist and viewer complete the piece together. It is within these series of changes that the writer has studied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printmaking and photography in particular, and examines from various angles the possibilit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xpression in printmaking through the fusion of print, photography and digital media.

1. 서론
2. 과학기술과 예술의 만남
3. 판화와 사진의 재매개화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