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7.149
18.223.107.149
close menu
KCI 등재
인식요구표현의 어용론적기능 -「じゃないか」를 중심으로-
김지희 ( Ji Hee Kim )
UCI I410-ECN-0102-2014-700-001491934

인식 요구표현으로서 「じゃないか」의 기본적인 기능은 청자에게 명제 내용을 (재)인식시키는 것이지만,「じゃないか」에는 명제 내용을(재)인식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화용론적 관점에서 「じゃないか」의 화용론적 기능과 그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명제 내용을(재)인식시키는데 그치지 않는 「じゃないか」의 배경에는 일상적 추론에 근거한「화자의 상정(α→β)」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는 김(2012a、2012b)의 기술을 보충, 발전시켰다. 그리고, 타카나시(2010)의 「미실현」과 「비실현」의 개념을 원용(援用)하여 「화자의 상정」의 사태가 「미실현」인지, 아니면,「비실현」인지에 의해, 「じゃないか」의 화용론적 기능이 달라짐을 밝혔다. 예를 들면,「じゃないか」는 화자의 상정의 사태가 「미실현」의 경우에는 「당연성의 주장」,「비실현」의 경우에는 「비난·불만의 표명」으로서 기능하였다.

The thesis, in the position of immanence of ``speaker``s assumption(α→β)`` depended on routine postscript(judgment of conditional sentence) behind of -janaika which is mere recognition of proposition content, made an attempt to make unified explanation of pragmatic function of -janaika. To be more specific in today``s world, would the state that "a speaker``s assumption" situation thought to be appropriate by a speaker be a case of "yet to be realized state" or the state thought appropriate by a speaker be a case have already been realized and irreversibly "unrealistic" state, its pragmatic fun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case. In other words, in case of "yet to be realized" the state assumed by a speaker plays a role of "assertion of righteousness" and in case of "unrealized" state, it plays a function of "expression of criticism/dissatisfa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