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95.244
18.219.95.244
close menu
KCI 등재
학습스타일에 관한 고찰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 대한 앙케이트 조사를 통하여-
A Study on Learning Style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Korean Japanese students-
김세련 ( Se Ryun Kim ) , 아키하타카코 ( Akiha Takako )
UCI I410-ECN-0102-2014-700-001492395

외국어 습득의 성공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연령, 적성, 동기, 학습스타일, 성격등의 학습자 요인들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중에서도 학습스타일은 외국어교육의 코스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학습스타일에 관한 연구는 구미에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일본어 학습자가 많은 아시아권에서는 연구가 비교적 적고, 한국에 있어서도 일본어 학습자에 대한 실증적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본어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을 살펴보기 위하여 Willing(1988)의 설문지를 이용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여 인자분석 및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자의 회답을 인자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세 가지의 인자「기본적 학습활동」,「독습형 학습활동」,「협동형 학습활동」이 추출되었다. 이세 가지 인자에 대하여 학습 레벨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피험자간의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기본적 학습활동」과「독습형 학습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기본적 학습활동」에 대해서는 히라가나 학습부터 시작하는 SJP1 학습자보다 학습이 진행된 SJP2, SJP3, SJP4의 학습자가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독습형 학습활동」에 대해서는 SJP1의 학습자보다 SJP3, SJP4의 학습자가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열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일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독습형 학습활동」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문사회과 학대학, 상경대학, 의생명과학대학, 디자인대학의 학생보다 공과대학 학생들이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arner factors such as age, aptitude, motivation, learning style, personality are considered as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foreign language learning. Above all, learning style is considerably regarded main factor in course design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Research on learning style is actively studied in western society but, the research is less conducted in Asian countries on which many Japanese language learners exist and there is few empirical study about Japanese language learner in Korea.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investigation by using Willing’s(1988) questionnaire in oder to reveal Japanese language learning style in Korea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student’s answer along with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such as “Basic learning style”, “Self-learning style”, “Cooperative learning style”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clear learning level difference about these three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Basic learning style” and “Self-learning style” and, in “Basic learning style”, it became clear that SJP2, SJP3, SJP4 learner more answered “like” than SJP1 student who started to study in “Hiragana learning”. Furthermore,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same “analysis of variance” to clarify whether difference exists along with affiliation dif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only “Self-learning styl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 more answered “like” than college of liberal arts student, college of administration student, college of medicine student, and college of design student.

1. はじめに
2. 先行硏究
3. 硏究方法
4. 分析結果及び考察
5.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