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64.151
18.118.164.151
close menu
KCI 후보
초등학생들의 "환경요소" 및 "환경적응"에 대한 개념 이해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nvironmental El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Concepts
권은정 ( Eun Jeong Kown ) , 홍승호 ( Seong Ho Hong )
한국초등교육 24권 1호 175-195(21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622804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의 ``환경요소`` 및 ``환경적응``에 대한 개념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6학년 446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개념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지역별, 성별에 따라 개념 이해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전체 18개 문항의 평균 오답율은 27.7%였고, 9개의 문항(환경요소 5개 문항, 환경적응 4개 문항)에서 평균 이상의 오답율을 나타내었다. 오답의 주요 내적요인으로는 낮은 인지 발달 단계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성급한 일반화, 무분별한 유추, 제한적 주의집중, 직관적 관념 순이었다. 외적요인으로는 경험부족, 대중매체의 영향, 교육환경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간에도 4개의 문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서 환경을 접하는 경험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도시와 농어촌 학생 간에도 2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살고 있는 사회적ㆍ문화적 환경에 따라서 어느 정도 개념 이해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이 갖고 있는 ``환경요소`` 및 ``환경적응``에 대한 개념 이해 정도를 알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오답이 높은 문항에 대해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학습 자료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questions for concept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l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of ``1JJJ7 revised curriculum,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 extent for their concepts by application to elementary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inputted for 446 elementary students (urban 250, rural 196 individuals) of 6th grade, and then analysis according to living place and gender also was carried out. The rate of average wrong answer for total concept questions was 27.7%. Among 18 questions, the nine questions were appeared as rate of wrong answers over average. The reasons for the misconception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step of low cognition development, hasty decision, wrong analogical inference, restricted attention, lack of experience, mass communications (IV or internet, etc.), and so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ncept perception according to living environments and gender of the study subjects were appeared in the two and four ques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for perception extent of concept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l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of elementary students. Forw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per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orrection of ``environmental el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concepts and various educational data for help its concept understanding of stud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