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19.166
3.135.219.166
close menu
KCI 후보
서정주 시의 신체어에 대한 인지시학적 고찰
Cognitive poetics study on body terms in the poetry of Jeongju Seo
이승철 ( Seung Cheol Lee )
영주어문 27권 225-255(31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0618057

본고는 서정주 시에서 신체어에 해당하는 ‘손톱’, ‘눈썹’, ‘피’를 중심으로 이들에 대한 인지주체의 인지특성을 고찰하였다. 서정주 시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이어가면서 인지시학 방법론으로 접근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손톱’에 대한 화자의 인지특성을 고찰하였다. 서정주 시에서 ‘손톱’은 ‘아내’와 ‘임’의 신체 일부이면서 동시에 이들을 환유하고 있다. 그리고 ‘손톱’은 [형태의 유사성은 내용의 유사성이다] 은유에 따라 ‘초승달’과 등가적 관계로 표현된다. ‘손톱의 분홍’ 표현에서는‘손톱의 분홍’을 용기(container)로 인식하고 그 안에 담겨있는 ‘꿈, 노래’의 현재성과 지속성을 부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손톱’는 서술어인 ‘깎는다’와 연결되어 아내의 고단한 삶에 대한 감사와 함께 지난 삶에 대한 반성적 태도를 표출한다. 3장에서는 ‘눈썹’이라는 신체적 상관물을 통해 그리움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먼저 [사랑은 임의 눈썹이다] 은유에 근거하여 ‘눈썹’은 여인으로 촉발되는 ‘사랑’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임에 대한 사랑은 보름달이다], [임에 대한 그리움은 보름달이다] 은유에 따라 ‘눈썹’은 달의 이미지 중 ‘그리움’의 정서를 수용한다. 4장에서는 ‘피’를 통해 드러난 화자의 존재의식을 고찰하였다. 雄鷄에서 ‘피’는 살인 충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화자는 ‘피’의 분출을 몸에 갇힌 욕망의 해방으로 인지한다. 욕망의 상징으로서의 ‘피’는 花蛇에서 위험하면서도 매력적인 양가적 속성으로 이해된다. 自畵像에서는 ‘피’를 통해 존재론적 고뇌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시는 피를 담은 용기이다]라는 은유와 함께 ‘피’는 혈연적이고 유전적인 존재 속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This article is to stud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bout ``nails``, ``eyebrows``, and ``blood`` that are corresponded to body terms in the poetry of Jeongju Seo. The result of the cognitive poetic approach following the existing discussion about the poetry of Jeongju Seo is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this study studie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about ``nails``. In his poetry ``nails`` are not only parts of ``wife`` and ``lover``, but metonymy is used. Also ``nails`` are expressed in the equal relationship with the ``crescent moon`` according to the metaphor [the resemblance of the form is the resemblance of contents]. In the expression of ``pink in nails``, the ``pink in nails`` are recognized as containers and the nowness as well as substantiality of ``dream and song`` in them are emphasized. Lastly, ``nails`` are connected to the verb ``clip`` to express gratitude towards fatigued life of the wife, and self-reflection about past. In the third chapter, through the correlative body part, ``eyebrow``, longing emotion is expressed. First, based on the metaphor [love is the eyebrow of the lover], ``eyebrow`` is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love`` that is triggered by a woman. Also following the metaphors [Love for the lover is full moon], and [Longing for the lover is full moon], ``eyebrow`` embraces the emotion of ``longing`` among the images of the moon. The fourth chapter looked on existence consciousness of the speaker through ``blood``. In the Rooster , ``blood`` acts as the aspect that triggers instigation for murder and the speaker recognizes the eruption of ``blood`` as the emancipation of desire locked up in the body. As the symbol of desire, ``blood`` is understood as dangerous yet charming ambivalent properties in the Flower snake . In the Self-portrait , he shows ontological agony through ``blood``. This takes charge in exposing that ``blood`` has properties of blood-tie and hereditary existence with the metaphor [the poetry is the container with blood].

1. 서론
2. ‘손톱’-임과 꿈의 용기
3. ‘눈썹’-사랑과 그리움의 개념 은유
4. ‘피’-욕망과 존재론적 대상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