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2.122
18.189.2.12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성별에 따른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Gender Differences in Oral Health Literacy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이규은 ( Kyu Eun Lee ) , 염영희 ( Young Hee Yom ) , 김상숙 ( Sang Suk Kim ) , 한정희 ( Jung Hee Han )
UCI I410-ECN-0102-2015-500-0005970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을 확인하고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노인들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불충분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문항별 이해정도를 확인한 결과 ‘잘 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단어는 남자노인의 경우 칫솔, 치아, 치약, 어금니, 간식섭취와 설탕이었고, 여자노인은 칫솔, 치아, 어금니, 치약, 충치 순이었다. ‘모른다’ 응답 비율이 높은 단어는 남 · 녀 노인 모두 누공, 맹출, 인레이, 외동, 수복 순으로 Ju 등[13]의 연구에서 ‘안다’의 응답비율이 높았던 칫솔, 치아, 치약, 어금니의 순서와 ‘안다’의 응답비율이 낮았던 맹출, 치근단절제술, 와동, 인레이, 누공의 순서와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물품이나 단어에 대한 이해수준은 높으나 전문적인 의학용어는 생소하여 그 수준이 낮게 나온 결과로 해석되며, 노인대상자들의 입원이나 치료과정에서 의료인이 전문적인 의학용어를 사용하게 되면 노인들과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요하면서도 자주 사용되는 의학용어의 경우에는 의료인과 대상자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대상자들에게 의학용어에 대한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의학용어 중 한글이나 혹은 이해가 쉬운 어휘로 대체할 수 있는 용어는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좀 더 쉬운 용어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REALM 기준에 따라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점수가 높았다. 이는 과거의 가부장적인 사회구조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고려해보면 어느 정도 예견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와는 달리 성인을 대상으로 한 Ju 등[13]의 연구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아니지만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에서는 노인에게서 성별차이가 없었던 연구[11]도 있어 연구결과에 일관성이 없었다. 추후 다른 변수를 모두 통제한 체 연령 및 성별과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할 필요가 있겠다. 한편 Hwang [17]은 보건의료분야에서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점수가 0~44점이면 부족 또는 낮음, 45~60점은 경계역 수준, 61~66점은 충분하다고 분류하였는데, 이 분류에 의하면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은 10명중 거의 8명이 부족 또는 낮음에 해당하고 나머지 노인 대부분이 경계역에 해당하여 남 · 여 노인들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매우 낮은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의료정보 이해능력은 일반 문맹률과는 다르게 의료상황에서 얻는 정보이므로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다른 기본적인 정보보다 이해하기가 더 어려워[18],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은 실제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 문해력보다 더욱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남 · 녀 노인 모두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구강건강상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노인의 건강 정보 이해능력과 지각된 건강상태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선행연구[11]와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남 · 녀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행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같은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없어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외래방문횟수와 같은 건강 관련행위에 따라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에 차이를 보인 Park과 June[12]의 결과와 비슷한 맥락으로 해석된다. 구강건강 관련행위는 치주질환 유병률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19]가 있는데, 치주질환으로 인해 노인들의 치아가 상실되면 저작능력이 저하되고 의치에 의한 통증과 같은 불편이 생길 수 있어 음식의 선택범위가 좁아지며 식사의 양과 질이 떨어져 일상생활이 무기력하게 되어 건강유지가 어려워 질 수 있다[20]. 그러므로 노인들의 건강유지를 위해 적절한 구강건강 관련행위를 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자노인은 교육수준, 흡연 및 구강건강상태가 구강 건강 정보 이해능력의 29.8%를 설명하고 있는 반면, 여자노인은 교육수준, 건강상태 및 구강건강상태가 구강 건강정보 이해 능력의 47.7%를 설명하였다. 남자노인과 여자노인 모두 교육 수준은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설명하는 변수였다.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문해력을 조사한 결과 고등교육을 받은 성인과 비교했을 때, 고등학교를 끝마치지 못한 성인 중 많은 비율이 기본적인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수준에 있었다는 결과[21]와 같은 맥락이다. 물론 고등교육을 받은 개인도 의학적 정보를 이해하고 이용하기가 어렵다는 연구결과[22]도 있지만 교육수준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결정인자로서 고려되어야 한다[5]. Ju 등[13]의 연구에서도 구강건강문해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한 다중 회귀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교육수준이 가장 강력한 설명요인이었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이 높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같았다.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여자노인의 건강 상태는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설명하는 변수였다.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영향요인을 확인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할 수 없으나, 유사한 개념인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영향요인을 확인한 연구를 대상으로 결과를 비교해보면 Kim[23]의 연구에서 건강정보 이해능력에는 질병수와 복용약물 수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Moon[24]은 지역사회의 노인 중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한 결과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높은 집단이 지각된 건강정도가 높았으며 복용하고 있는 고혈압의 약 개수가 적었고 평균 혈압도 낮았다고 하였다. Park과 June[12]은 농촌 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기초문해력, 연령, 보유질환 수, 건강상태가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결과들을 볼 때 구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건강상태나 구강건강상태가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예측요인이 되었던 이유를 추정해 볼 수 있겠다. 한편 남자노인의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흡연이 있었는데 Gwak[25]은 흡연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흡연이 전신적인 면역체계를 저하시키며, 치주질환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고, 외과적 또는 비외과적 치주치료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즉, 흡연이 구강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구강건강과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간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흡연이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그러나 Wolf 등[26]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흡연이나 음주 등의 건강위험행동을 공변량 통제 후 측정한 결과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설명하는 변수의 개수는 같았으나, 남자노인은 여자노인보다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하는 변수들의 설명력이 작았다. 이는 남자노인들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설명하기 위해서 더 많은 변수를 탐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후 연구에서 남자노인들의 구강 건강 정보 이해능력에 영향하는 관련변수의 탐색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양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한쪽 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구강건강 증진이나 구강질환의 예방을 위한 사업이나 교육수립 및 수행에 성별을 고려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노인집단은 하나의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라 연령별,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이질적인 집단이므로 각 집단의 요구와 특성에 맞는 구강건강 관리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노인들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수준 및 영향 요인을 성별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보았다는 것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의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측정도구로 사용된 REALM은 의학용어를 확인하는 검사로서 가장 자주 사용되지만[27], 어휘만을 가지고 측정하여 측정도구의 오차로 인한 편향(bias)이 있을 수 있다. 추후 다양한 측정도구를 가지고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조사대상이 일부 지역의 일부 노인만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의 설문지로 얻은 자료이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 셋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도록 건강건강이나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 예를 들면 치과이용 경험, 의치사용 경험 등과 같은 변수가 제외되었으며 특히 일반노인이 아닌 남자노인 혹은 여자노인들만의 독특한 경험과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변수를 확인하지 못하여 설명력이 낮은 원인이 되었다.

Purpose: This study is to measure oral health literacy levels and to identify oral health literacy related factors in elder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es. Data collection was done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321 elders from three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nd two senior centers located in three citi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oral health literacy scores of male el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elders (t=9.73, p=.002).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levels, smoking and oral health status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accounted for 29.8% of the male elders` oral health literacy. For female elders, education levels, health statuses and oral health status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accounted for 47.7%.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improving oral health literacy are necessary to enhance elders` ability of self-care management. Also,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developing oral health literacy programs.

서 론
연 구 방 법
연 구 결 과
논 의
결 론 및 제 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