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30.232
3.19.30.232
close menu
KCI 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 실태와 교사 인식
A Study on the Current Utilizations and Perceptions of an AAC System among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Retarded students
전병운 ( Byung Un Jeon ) , 이지선 ( Ji Sun Lee ) , 김갑상 ( Gap Sang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0522436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활용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5개의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조사지 중 총 170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용 실태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를 활용하고 있지 않으나 필요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학급에 구비되어 있는 AAC도구 그림카드와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구비되어 있는 도구 중 활용 방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미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 활용한 경험도 많았고, 그림이나 사진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제작해본 AAC 도구는 사진/그림 카드와 의사소통 판이었다. 다섯째, 학교관리자들은 관심이 적은 편이었으며 학교 별도의 지침이나 안내, 예산편성은 거의 없었다. 교사 인식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가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며 사회성 향상과 의사소통빈도 횟수의 증가를 기대하였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지도의 체계적 도입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한 교육 받을 것을 희망하였으며 사례나 전략에 대한 정기적 연수(교육)의 실시와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활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넷째, 보완·대체의사소통 대화 상대자 교육이 매학기 1회 이루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의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교사의 지식과 경험 부족이라 하였다.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utilizations and perception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t a total of five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analyzed a total of 170 questionnaires collected. As for the findings regarding the utilizations of AAC, first, there were many students that needed an AAC system even though such a system was not in use. Second, picture cards and photographs were the AAC tools most frequently equipped at each classroom. Some AAC tools were not even used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ways they were used. Third,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an AAC system also had many experiences with it. and pictures and photographs were most utilized. Fourth, the teachers made such AAC tools as photograph/picture cards and communication boards first hand. Fifth,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a little interest in AAC with schools providing additional guidelines or guidance about it. As for the teachers`` perceptions of AAC, first, they believed that an AAC system was helpful with communication and expected it to improve sociality and increase communication frequency. Second, they felt a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AAC instruction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it. Third, they hoped to receive education on AAC systems and exhibited the biggest need for regular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on cases and strategies and the methods to teach students how to make use of AAC tools. Fourth, they maintained that education on AAC partners should be provided once a semester. Fifth, they cited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whether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had improved for student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what the future tasks and directions were.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