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4.206
18.217.4.206
close menu
KCI 등재
기능적 활동중심 수학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계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unctional Activity-based Mathematics Teaching Program on Money Calcula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미희 ( Mi Hee Lee ) , 강영심 ( Young Sim Kang )
지적장애연구 16권 1호 149-175(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22481

본 연구는 기능적 활동중심 수학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계산능력, 구체적으로 금액 알기, 잔돈 바꾸기, 물건값 계산하기, 거스름돈 계산하기의 습득과 유지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 동안 지적장애학생의 화폐계산능력은 물건구입하기 기술이나 금전관리 기술을 가르치는 과정에 일부분 포함시킨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화폐계산능력 자체를 중재목표를 두고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지적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내 행동간(화폐계산능력의 하위영역)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중재-유지의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화폐계산능력의 측정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에서 제시하는 화폐단원의 내용을 참고하고, 화폐와 물건의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추가하여 만든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의 화폐계산능력을 위한 기능적 활동중심 수학교수프로그램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Ⅲ단계 화폐계산 영역에서의 학습과제를 분석하여 학습내용을 기능적이고 활동중심적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대상학생이 재학 중인 중학교 특수학급 교실에서 주 5회 6주간에 걸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의 검사결과 비교에서 3명의 지적장애학생 모두 화폐계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지기 후의 유지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능적 활동중심 수학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계산능력의 습득과 유지에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실에서의 모의상황을 만들어 적용하였기 때문에 실제 생활로 전이되어 일반화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시할 수 없었다. 화폐계산능력은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없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 교실에서의 모의상황을 통하여 습득한 화폐계산능력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unctional activity-based mathematics teaching program affects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money calculating ability(knowing the price, changing small changes, calculating price, calculating chang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multiple probe design between behaviors (subdomains of money calculation) of single subject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ree intellectually-challenged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Busan. First, the baseline data of the subjects in the four subdomains were collected, and then, the baseline data was collected only for knowing the price, for which mediation will be performed first, while the baseline data for the rest of the subdomains were collected periodically. The baseline data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 And, when the baseline of knowing the price stabilized, mediation was immediately started, and, simultaneously, the baseline data for changing small changes was collected for the second mediation. Here, mediation was discontinued if the achievement in knowing the price reached 80% for 3 times or more or if it was repeated 15 times. With the same method, mediation was performed in turn for the remaining subdomains, and, when all mediation was completed, a week of rest period was given before performing 3 times of maintenance tests were performed.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comparison of test results between baseline and posttest result, the ability of the intellectually-challenged students to calculate money improved and was effectively maintained. Therefore, functional activity-based mathematics teach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intellectually-challenged students’ ability to calculate money. Second, in the result of mediation in subdomains of the intellectually-challenged students,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mediation period, the abilities improved in all subdomains. Therefore, functional activity-based mathematics teach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earn all sub-domains-knowing the price, changing small changes, calculating price, calculating change.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