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76.66
18.191.176.66
close menu
KCI 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영역별에 따른 실천적 지식 척도 타당화의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Differences on Validation of Measurement Scale to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ype of School with Disabilities
최성규 ( Sung Kyu Choi )
지적장애연구 16권 1호 177-196(20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22496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영역별에 따른 실천적 지식에 대한 척도 타당화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 문항은 Elbaz(1980)의 이론적 틀에 기초하여 하위요인별에 따라서 연구자가 97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국에 소재한 135개 특수학교 교사 2,049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특수학교 교사 2,049명은 시각장애학교 교사 143명, 청각장애학교 교사 309명, 정신지체학교 교사 1,088명, 지체장애학교 교사 297명, 그리고 정서장애학교 교사 21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천적 지식 문항의 요인 개수와 삭제된 문항의 개수에서 장애영역별에 따라서 각각 2개 요인과 2개 문항 이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실천적 지식 내용에 해당하는 ‘교과내용 지식’ 하위영역 하나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천적 지식 내용의 나머지 4개 요인과 실천적 지식 정향과 실천적 지식 구조는 장애영역별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을 이 연구에서는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differences on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scale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with disabilities. The 2,049 teachers with 135 special schools who were working on the five types of special school, such as school for the blind, deaf,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ies, and emotional disorder over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ith 97 questions was developed by researcher based on Elbaz(1980)`s theoretical framework and Hong(2005)`s the necessary statement to develop the practical knowledge. The numbers of the factor analysis and deleted items were less than two. The subject contents knowledge part in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was different based on the type of school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scale except the subfactor, the subject contents knowledge part in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was validated to all special teachers regardless of the type of school with disabilities.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