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37.64
18.117.137.64
close menu
KCI 등재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교사 인식: 혼합 연구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m: A Mixed Method Study
박영근 ( Yung Keun Park ) , ( John L. Hosp )
지적장애연구 16권 1호 219-243(25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22512

본 연구는 전환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전환교육의 개념, 전환교육의 중요성, 수행정도, 수행에 따른 어려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중·고등부 혹은 전공과를 담당하고, 실제로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혼합 연구(mixed method research)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 교사들은 6가지 전환교육 영역 모두에 있어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실제 전환교육 수행수준은 그에 많이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독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반적인 교육과정 및 관련 서비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환교육의 중요성 또한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전환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환교육 수행을 방해하는 많은 어려움들로 인해 그 수행의 정도는 낮은 편이다. 주로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을 방해하는 어려움들은, 과중한 업무 부담, 비체계적인 학교 시스템, 장애에 대한 인식부족, 학생들의 장애 중도·중복화, 학교장의 비협조, 부모와의 비협조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전환교육 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 및 연수 제공, 과중한 업무 감소 및 전문 인력 확보, 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인식수준 향상, 국가적 시스템 개선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cept of transition services,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current implementation level, difficulties faced in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promot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s.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s and phone interview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high schools. As a results of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because transition services help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when they become adults by providing them with the skills to gain and maintain employment. Although they perceive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was relatively low. Special education teacher recognized that many barriers keep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effectively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mong those barriers they cited were heavy workload, non-systematic school system,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verity of students’ disabilities, non-cooperation of the principal, and gaps in opin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providing in-service training for increasing teacher specialties, decreasing the workload, increas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ing national support systems, and building sound cooperation with transition agencies are necessary.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한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