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67.16
18.217.67.16
close menu
KCI 등재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s of Shame-inducing experiences on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정은영 ( Eun Young Jung ) , 신희천 ( Hee Cheon Shin )
상담학연구 15권 1호 183-194(12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1620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수치심은 전체 자기를 평가하여 자기를 비난하고 무가치감과 무기력감을 느끼게 하는 자의식적 정서이다. 이러한 수치심은 개인의 정서 상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치심과 우울과의 관계는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지만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변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수치심, 우울, 자기수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치심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수용은 수치심,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에 대한 수치심과 자기수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기수용이 수치심과 우울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Shame is self-conscious emotion which is self-evaluation to blaming oneself and leads feelings of being worthlessness and powerlessness. Such that plays a vital roles in affection and mental health, especially in relations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are limited researches about the moderator variables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 between shame-inducing experiences and depression. A sample of 253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shame-inducing experiences, self-acceptance, depression. As a result, shame-inducing experience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both shame-inducing experiences and depression.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effect of shame-inducing experiences on depression. This study demonstrated role of self-acceptance as buffers against shame-inducing experiences leading depre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서 론
방 법
연구결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