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46.193
3.135.246.193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김나미 ( Na Mi Kim )
상담학연구 15권 1호 241-258(1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1623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S 대학의 교양과목인 긍정심리학 수업을 수강하기 위해 자원한 48명의 학생이며, 통제집단은 동일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강의를 듣는 129명 중 실험집단과 동일한 48명의 학생을 무작위 선발하였다. 멘탈 휘트니스 프로그램은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모든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검사에서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우울증 척도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사전 검사 점수에서 차이가 없었던 두 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우울 척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경험하였지만 통제 집단은 각 척도의 사후 점수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프로그램 개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을 사전검사의 우울 척도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30% 집단과 하위 30%집단으로 나누고 세 척도에서 사전과 사후 검사 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증 하위(우울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의 변화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우울증 상위(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우울에서 유의미한 향상 효과를 나타났다. 또한 우울증 상위집단의 향상도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우울 각 척도의 하위영역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mental fitness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facing various forms of stres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48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ed for the study and were interested in taking the class on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s at “S”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 control group included 48 college students selected randomly from a total of 129 students who took general studies classes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program included 12 sessions, and pre- and post-stud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all participants based on scal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for the control group in study 1. For Study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high 30%, low 30%) based on the depression scale and compare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for high-depression students but not for low-depression ones. In addition to reviewing mean scores for each subdomain,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specific chang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for high-depression student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