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66.206
3.16.66.206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 검사 타당화 연구
Validation Study of the Anxiety Scale for Middle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윤형철 ( Hyeong Cheol Yoon ) , 은혁기 ( Hyuk Gi Eun )
상담학연구 15권 1호 359-370(12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1629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년의 불안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북 B군 소재 초등학교 3~4학년 317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검사 71문항, 학교생활적응 검사 36문항, 가정생활만족도 검사 5문항, 총 112문항의 검사를 시행한 후 SPSS12.0을 이용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를 보면 불안검사에서는 시험불안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던 반면, 학업불안 평균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교생활적응 검사에서는 일반적응 평균이 가장 높았던 반면, 학교행사적응 평균이 가장 낮았다. 가정생활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안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불안검사와 학교생활적응 검사, 가정생활만족도 검사의 상관을 구하였다. 그 결과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낮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생활만족도 검사와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불안검사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이지만 가정생활만족과는 상관이 낮은 검사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Anxiety Scale for Middle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the anxiety scale scores were collected from 317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3~4 who attended i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ounty, Jeollabuk-do. The total items were 112-the Anxiety Scale consisted of 71 items, school adjustment scale consisted of 36 item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scale consisted 5 item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test anxiety score was the highest in anxiety scale. On the other hand, academic anxiety score was the lowest in anxiety scale. Also, General adaptation score for the school was the highest in school adjustment scale. Adaptation score for school events was the lowest in school adjustment scale. Family life satisfaction score was generally hig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upported by correlation between the anxiety scale and school adjustment, family life satisfaction. the anxiety scal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he anxiety scale ha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not in family life satisfaction but in school adjustment.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