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8.157
3.145.178.157
close menu
KCI 등재
마인드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정문경 ( Moon Kyeong Jeong ) , 김병석 ( Byeong Seok Kim )
상담학연구 15권 1호 499-519(21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1636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특성이 배우자지지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이라는 대인간변인을 통해 결혼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긍정적인 개인내적 변인인 마인드풀니스와 정서조절이 대인간 변인인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통합하는 맥락모델을 구성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84쌍의 부부들에게 마인드풀니스 척도, 정서조절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결혼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마인드풀니스와 정서조절이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에 비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체계가 개인과 관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특징과 부부간 상호작용 과정 등을 통합하여 연구해야 한다는 맥락모델의 타당함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having influence upon marital satisfaction with the contextual model of integrating intra-personal model and interpersonal model. Based on this, the contextual model was formed, which integr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indfulnes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mindfulness scale, emotional regulation scale, perceived spousal support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targeting totally 284 coup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sequence of verifying research model 1, which is partial mediation model, and research model 2, which is complete mediation model, as for whether the mindfulness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have indirect influence by having the perceived spousal support as medium, the more concis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confirmed to be more proper. This result proved the validity of contextual model as saying that a research on conjugal relations needs to be performed by integrating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arital interaction process.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서 론
방 법
연구결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