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7.202
3.149.27.202
close menu
KCI 등재
미래 핵심역량, 창의인성, 그리고 작문교육 미래 핵심역량과 중등 작문교육
The Core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and Writing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s
박영민 ( Young Min Park )
작문연구 20권 109-133(25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497640

이 글은 미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이 편성될 때 중등학교의 작문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새롭게 편성될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핵심역량이 핵심어로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이를 중심으로 하여 중등학교의 작문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를 논의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미래 핵심역량과 작문교육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먼저 논의한 후 미래 핵심역량에 따른 중등학교 작문교육의 방향을 다루었다. 이 글에서는 중등학교 작문교육의 방향을 크게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작문교육 목표의 재구조화, 둘째, 다양한 작문 확장 형태의 설정, 셋째, 작문교육 내용 선정 방법의 전환, 넷째, 작문 지도 방법의 변화 및 집중이 그것이다. 이러한 네 가지의 방향은 미래 핵심역량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 및 국어교육의 실천에서 작문교육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and writing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writing instruction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core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is needed as key roles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wo years. This paper proposed 4 ways for the direction of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 ⑴ resetting goals of writing instruction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⑵ making various writing patterns in school environment and classroom context, ⑶ changing the choice methods of the contents of writing instruction, ⑷ focusing the power and interest on the changes of writing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These 4 ways are going to play a role to reinforce writing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to mak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Ⅰ. 서론
Ⅱ. 미래 핵심역량과 작문교육의 관련성
Ⅲ. 작문과의 관련성에 따른 미래 핵심역량의 층위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