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3.150
3.16.83.150
close menu
KCI 등재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연구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글쓰기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riting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ed on aspect of Writing as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Materials generating strategies-
고예진 ( Ye Jin Ko )
작문연구 20권 167-197(31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497660

본고는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수행되었던 서양인의 글쓰기 활동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글쓰기 활동은 크게 3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문장 쓰기 활동`` 이었다. 문장 쓰기는 번역,대체 수준의 초보적 문장 쓰기와 문법에 초점을 두거나 내용에 초점을 두어 문장을 쓰는 발전적 문장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덧붙여 쓰기``와 ``다시 쓰기`` 활동이었다. ``덧붙여 쓰기``는 어휘나 구 혹은 문장을 덧붙여 쓰는 활동으로 19세기 말부터 수행되었다. ``다시 쓰기``는 20세기에 이르러 수행된 활동으로 ``주어진 속담을 읽고 그 속담의 뜻을 한국어로 다시 쓰기``, ``한국민담을 듣고 한국어로 다시 쓰기``를 들수 있다. 이 단계의 글쓰기는 한국어를 듣거나 읽은 후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긴 글쓰기`` 활동이었다. 즉, 완결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글쓰기 단계이다. 한국 종교, 결혼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문이나 대화체 글을 쓰거나 문법 항목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이야기를 쓰는 글쓰기 활동이다. 이 단계의 자료는 19세기 말부터 누적된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학습이 20세기 초에 이르러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잘 보여준다.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어 학습을 시도했던 서양인들은, 20세기 초에 접어들면서 한국어 학습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글쓰기 활동을 추적하여 고찰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수행에 대한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 peopl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one of the strategies to make good teaching method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patterns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ers. The first step in Korean writing was ``sentence writing``. There were translation, substitution, grammar-based sentence writing, meaning-based sentence writing. The second step was ``expanding writing`` and ``re-writing``. The case in ``re-writing`` is ``Read the proverb and write the meaning again`` or ``Listen to a Korean folk-tale and write it down in Korean language.`` ``expanding writing`` is writing in addition with word or phrase. On this stage, students were supposed to listen to or read Korean language texts and recreated what they comprehended in Korean. The third stage was ``writing a long text.`` In other words, it was ``writing a complete text freely.`` Western people were supposed to write an explanatory note or dialogue script about Korean cultures such as religion or marriage. Also, they wrote texts that show structur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features. Materials of this stage reflect that textbooks and teach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for western people which have been developed and accumulated from the 19th century have finally reached quite a high level. Westerners who tried studying Korean language in earnest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naturally started writing in Korean while making study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found historic data and values about westerners` Korean language composition by tracing texts written by western people in the past.

1. 서론
2.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유형
3.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전개
4.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가 주는 시사점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