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6.100
18.223.106.100
close menu
KCI 등재
교육행정직 공무원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질적 탐색과 우선순위의 양적 비교연구
Qualitative Exploration and Quantitative Comparison for Job Stressors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s in South Korea: Sequential Mixed Methods Design
권향원 , 이형우
정부학연구 20권 1호 229-263(35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474113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업무의 난이도와 위험도가 비교적 낮은 직군으로 이해되어왔고, 따라서 행정학 직무스트레스 연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 근 이들 직군의 하위직 일선 공무원이 직무스트레스를 호소하면서 높은 이직률을 기록 하거나, 심지어 잇달아 자살하는 등 특징적인 현상이 관측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 구는 이러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또 실용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하위직 일선 공무원이 작업장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들과 이들 요인 간의 중요도를 비교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삼았다. 한편 해당 직군은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희소한 선행 연구와 낮은 이론적 축적도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요소의 발견과 요 소들 간의 중요도 비교의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주제분석과 양적 AHP 을 혼용한 ‘혼합분석설계(mixed methods design)’를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심리적 계약위반, 업무요인, 조직요인, 그리고 관계요인의 상위범주요인들이 발견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제언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Drawing on sequential mixed methods consisting of preceding qualitative exploration and following quantitative comparison,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explaining the high rate of turnover and suicide emanating from job stresses of educational public officials and then to compare the explored factors by explanatory significance. The phenomena are largely counterintuitive as the field has been traditionally acknowledged as one of low stress and low difficulty. The results show tha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task factor, organizational factor, and relational factor turn out to account for the phenomena.

Ⅰ. 서 론
Ⅱ. 교육행정직 공무원과 공무원 직무스트레스
Ⅲ. 연구설계 및 방법론
Ⅳ.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