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105.194
3.146.105.194
close menu
KCI 등재
직무만족유형에 따른성격특성, 귀인양식, 불만족반응행동의 차이탐색
The Difference of Personality, Attribution & EVLN Response Ac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박혜성 ( Hye Sung Park ) , 정혜윤 ( Hye Yun Jeong ) , 이동혁 ( Dong Hyuck Lee )
상담학연구 15권 2호 655-674(20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4742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유형에 따른 성격의 특성과 귀인양식, 그리고 불만족반응행동(EVLN :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632명의 직장인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형(불만 없이 만족하는 집단), 적극형(만족과 불만족 모두 있는 집단), 소극형(만족도 불만족도 없는 집단), 불만족형(만족없이 불만족하는 집단)의 직무만족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성격특성의 경우, 만족형의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 개방성이 불만족형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 집단의 성실성과 친화성이 업무만족과 관련된 만족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귀인양식의 경우, 불만족형이 만족형에 비해 외적귀인을 하는 경향이 높았다. 넷째, 불만족반응행동을 살펴 본 결과, 만족과 불만족이 확실한 유형(만족형, 불만족형)이 적극적인 행동양식인 이탈, 발언, 충성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보다 자세한 연구 결과와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attribution, EVLN(Exit, Voice, Loyalty, Neglect) response actions of dissatisfaction, and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For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632 office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which were ``satisfied group(no dis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ctively expressive group(dis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passively expressive group(no dissatisfaction and no satisfaction),`` and ``dissatisfied group(no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Regarding personality, the satisfied group had higher level of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Openness to Experience than the dissatisfied group. Also,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each group``s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was depended on the satisfied factor which was business-duty satisfaction. Regarding attribution, dissatisfied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External-Luck attribution than the satisfied group. The satisfied group and dissatisfied group showed active behavior patterns such as Exit, Voice, and Loyalty. Further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