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56.140
3.15.156.14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간의 관계: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 Suppression in College Students: Self-silencing as a Mediator
김소정 ( So Jung Kim ) , 이승연 ( Seung Yeon Lee )
상담학연구 15권 2호 729-751(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47427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경남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199명, 여자 대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분노억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침묵을 매개하여 분노억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각 변인에서 남녀집단 간 차이검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침묵, 분노억압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을 통해 성별에 따른 연구모형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성별 차이검증 결과에 의하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수준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반면, 자기침묵 총점에서는 성차가 존재하지 않았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을 때, 자기침묵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침묵과 분노억압 변인 간의 관련성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 집단에서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elf-silencing, and anger suppression in a group of 413 college student(199 males, 214 females) who matriculated in 5 university located in Seoul, Gyonggi, and Gyoungnam.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x differences in structural relationship were also examined by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e level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 sup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self-silencing, sex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SEM analyses, self-silenc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 suppress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elf-silencing and anger suppression was much stronger among females than male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finally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