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02.167
3.144.202.167
close menu
KCI 등재
도시 상업 공간 구조에 대한 차별화된 성별 이용 패턴 분석 -신촌 및 이화여대 상업 지구를 사례로-
Analysis of the Land Use Pattern by Gender for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 Commercial Areas -A Case Study of Shin-chon and Ewha Womans University Commercial Districts-
신정엽 ( Jung Yeop Shin ) , 이건학 ( Gun Hak Lee ) , 김진영 ( Jean Young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0430148

도시 상업 공간은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성별에 따른 도시 상업 공간의 특성 이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시적 스케일에서 실증적 분석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도시 상업 공간의 탐색을 실증적으로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신촌 지역과 이화여대 상업 지구를 대상으로, 건물의 투수성, 업종 분포와 공간 조직, 토지이용의 활용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남성 중심 업종은 주로 신촌 지역에, 여성 중심 업종은 이화여대 지역에 공간적으로 클러스터되어 있으며, 두 지구의 업종 분포의 차이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활동과 의미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Urban commercial space has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a variety of urban activities are performed in that space.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urban commercial space by gender, there had been little research in both empirical and quantitative way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urban commercial space by gender quantitatively. For empirical analysis, Shin-chon and Ewha Womans University areas were analyzed in terms of building transparency, spatial distribution of business and spatial structure, and land us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ould find that the business domain for males is mainly spatially clustered in Shin-chon area, while the business domain for females dominates Ewha Womans University area in a spatially clustered form. Furthermo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land use pattern between two areas are likely to be related with social activities by gender.

1. 서론
2. 이론적 동향
3. 도시 상업 공간 구조의 사례 분석
4. 결론
註
文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