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12.145
3.144.212.145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조 후기 문예(文藝) 공간에서의 왕세정(王世貞)
Se-Jung Wang in the Cultural Spacein late Joseon Dynasty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연구 54권 139-171(33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382719

이 논문은 조선조 후기 문인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왕세정의 글을 열독한 사실을 주목하고, 그것의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당대 문인들은 문예 公論 場에서 ‘七子’를 비롯하여 王世貞이 남긴 글을 秦漢과 盛唐의 의고로 바라보거나, 模擬와 模倣 혹은 剽竊로 이해하여 비난하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그들의 창작 능력과 작품을 고평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하였다. 조선조 후기 왕세정 열풍은 단기간에 그치지 않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비판과 반 비판, 긍정과 부정 등의 극단적 시선으로 표출되었다. 이처럼 왕세정이 남긴 다양한 흔적을 탐색하고, 그 자체가 일국을 넘어선 문예적 이슈라는 인식을 제시하였고, 결국 이러한 현상은 동아시아에서 시공간을 넘어 상상의 문예 공화국으로도 기능하였음을 밝혔다.

A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lot of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used Se-Jung Wang`s books, this paper intended to determine what the many writers` interests in Se-Jung Wang`s books meant in the cultural history. The writers of that time evaluated the literary works remained by Se-Jung Wang including ‘Seven People’ in various ways. Some writers regarded their literary works as the imitation of ancient style such as the Qin and Han`s styles and the Tang`s style. Some of them criticised their literary works harshly because they understood that these works copied the ancient style and even plagiarize them. Even others highly commented their works and their creative abilities. The popularity of the literary works written by Se-Jung Wang in late Joseon Dynasty was not a temporary blip and for a long time, the writers of that time expressed the drastic opinions such as affirmative verse denial, criticizing harshly verse praising, etc. As this paper examined the literary works remained by Se-Jung Wang and the arguments in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argument of the literary works of Se-Jung Wang in Joseon Dynasty was an cultural issue over the national level and in the long run, East Asian society could work an imaginary cultural republic over space and time.

1. 王世貞 讀法의 方向
2. 王世貞 저술의 熱讀 현상과 그 저변
3. 王世貞 想像의 층위와 談論化
4. 왕세정 독법의 한 방향, 상상의 문예공화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