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61.16
18.218.61.16
close menu
KCI 등재
이헌구 비평 연구
General Topic : A Study on Lee Heon Gu`s Criticism
최윤정 ( Yun Jung Choi )
UCI I410-ECN-0102-2015-800-000383185

본고는 이헌구 비평이 식민지 시대 우리 문학의 지형을 해체하고 새롭게 구성할 만한 여러 가지 주체적 민족 담론을 내재하고 있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들은 카프와 국민문학파로 양분된 문단 지형의 구도 속에서 그 의의와 중요성을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함몰하고 만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헌구를 바라보는 관점도 카프에 의해 규정된 해외문학파에 대한 평가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헌구의 비평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보게 되면, 우리는 식민지 시기 카프나 국민문학파의 한계를 극복하는 지점과 우리 민족문학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관점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전통부정과 국민문학파의 부르주아적, 비민중적 경향에 대해 비판하고 그것들을 극복할 수 있는 행동주의를 선포한다. 그는 프롤레타리아 문학과는 달리 행동주의 아래서 민족을 주체로 하는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는 국민문학파의 민족주의가 조선적인 것의 귀환을 욕망하면서 과거의 것으로의 회귀에만 초점을 둔 것에 비하여 우리 것에 대한 주체적 호명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우리 전통에 대한 새로운 계보 쓰기를 제안한다. 이외에도 이헌구는 제국과 거리를 두고 주체적인 의식을 갖고 ‘번역’이라는 작업을 이행하며, 세계문학화를 지향함에도 조선적 특수성을 염두에 두고 민족현실을 간과하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예술의 사회학적 비평의 관점에서 부르주아 민족주의의 현실 도피적 경향을 경계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헌구는 우리 민족문학이 주체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다각적으로 시사해 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grasp that implies the national discourse in Lee Heon Gu``s criticism. But this variety of discourse go between the Proletarian Literature and that of Nationalistic Literature. The evaluations about Lee Heon Gu was leaning on the KAPF``s assessment. Take a deep look inside itself, Lee Heon Gu``s criticism, we understand that his discours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Nationalistic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He criticized on Proletarian Literary tradition wrong and Nationalistic Literary non-proletarian inclination, and advocated Behaviorism, which could overcome them. He emphasized the sociological role of literature as a nation. And at the same time, he commented on Nationalistic Literary the traditional regression. He presented a new Genealogy writing for tradition. In addition, he fulfilled the translation tasks independently from Japanese imperialism. Also he even world literatur-oriented, mind the uniqueness of Chosun. Moreover, he warned escapism in terms of sociological criticism. Consequently Lee Heon Gu presented an independent direction of our literature from different angles.

1. 식민지 문단의 균열과 문단 지형의 변화
2. 근대문학의 반성적 계기와 민족문학의 방향
3. 우리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