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4.251
3.145.94.251
close menu
KCI 등재
북촌한옥 실내공간의 전통과 현대적 융합특성
Tradition and modern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Bukchon Hanok interior space
이유리 ( Yu Ri Lee ) , 남경숙 ( Kyung Sook Nam )
UCI I410-ECN-0102-2015-600-000365501

본 연구는 비지정문화재로 한옥의 활용에 따른 변화양상이 다양하고 자유로우며, 서울 도심에서 전통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북촌한옥마을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0년대 이후 신축된 5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공간적 특성별 표현방법과 표현방법별 공간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적 특성은 채나눔에 의한 구성, 선과 면의 표현, 전이공간, 개방성과 폐쇄성, 연속성에 대해 분석하고, 표현방법은 직접적 표현방법, 변용적 표현방법, 추상적 표현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공간적 특성 및 사례별 표현방법의 분류로서 채 나눔은 사례의 대부분이 추상적 표현으로 나타났고, 선과 면의 표현은 변용적 표현, 전이공간은 직접적 표현, 개방성과 폐쇄성은 직접적 표현, 연속성은 변용과 추상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표현방법별 공간특성에 의한 분류로서 직접적 표현방법은 전이공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변용적 표현방법은 선과 면의 표현, 추상적 표현방법은 채 나눔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통성을 구현하는 건축물 중 전통성을 패턴화, 조형화 하는 것에만 치중하고 근본적인 전통성을 잘 구현해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전통성을 잘 구현해내는 것은 옛 것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전통성의 의미와 근본정신을 바탕으로 그것을 현대화 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현대한옥에서 전통의 재구현과 재창조를 위해서는 옛 것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전통성의 의미와 근본정신을 바탕으로 그것을 현대화 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통 한옥의 공간적 특성을 현대화하여 기능적인 것과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맞게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s the basis of Bukchon Hanok Village which has free and various change pattern according to using of Hanok as a non-designated cultural asset and can make to feel traditional atmosphere in central Seoul.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of an expressing method according to each spatial feature and a spatial feature for each expressing method on 5 cases which was constructed after 2000``s. Spatial feature was analyzed from composition upon Chae-dividing, an expression of a line and a face, transition space, openness and occlusive and chain of custody, The expression methods were divided into direct expression, transformational expression and abstract expression, for analysis of expression method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As a result, in most cases, abstract expression applied to the detachment of ``Chae``, transformational expression applied to the line and surface, direct expression applied to the transition space, and the openness and closure, and transformational and abstract expression applied to the continuity. Also, direct expression was adopted most in the transition space, transformational expression was adapted most in the line and surface, and abstract expression was adopted most in the detachment of ``Chae``. many of the traditional buildings only focused on patterns and formative expressions of tradition and failed to embody the fundamental traditionality. A proper realization of traditionality means to modernize and express the meaning of traditionality and fundamental spirit, not imitating or removing the old. In modern Hanok, reconfiguration and re-creation of tradition can be made by expressing them modernly based on traditional meaning and fundamental spirit rather than copying or throwing away old things. To do this, spatial feature of traditional Hanok should be recreated for functional aspect and modern life style by modernizing i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