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3.150
3.16.83.150
close menu
KCI 등재
소비자 식품안전 체감지수와 역량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Index and Food Safety Competency Index
유현정 ( Hyun Jung Yoo ) , 주소현 ( So Hyun Joo )
조사연구 15권 2호 23-70(48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66594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식품안전 전반에 대한 체감 및 역량을 평가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이를 지수화하여 향후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지향 수준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지향하는 식품안전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품안전 체감지수와 식품안전 역량지수를 산출하였다. 다양한 지수화 방법을 고찰하여 적용해 보고 실제 우리나라에서 식품안전 체감지수와 역량지수를 산정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은 무엇인지를 결정하여 각각의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미 개발된 식품안전 체감척도와 식품안전 역량척도를 활용하여 20~40대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식품안전 체감지수와 식품안전 역량지수에 각각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과 각지수를 구성하는 하위영역에 회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 8개의 식품안전 체감지수와 4개의 식품안전 역량지수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지수를 서로 비교하고 소비자의 배경변수에 따른 분석을 통해 가장 단순하고 명료한 동일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렇게 산출된 우리나라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지수는 100점 만점에 41.91점이었으며 역량지수는 58.81점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 체감지수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식품 품목에 대한 안전 체감도와 위해유발 사항에 대한 안전 체감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았으며, 식품안전 역량지수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식품안전에 대한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소비자가 지향하는 식품안전의 바람직한 수준을 영위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사회시스템과 주관적인 소비자의 노력 및 능력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에서 본 지수들은 향후 정책적 대안 수립이나 소비자 교육 및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tries to explore the most suitable way of indexing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competency using previously developed measurements.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Index(CPFSI) and Consumer Food Safety Competency Index(CFSCI) can be used to gauge the current levels of consumers food safety orientation and to develop food safety related policy. To find out the most suitable way of creating index, previous literature on indexing was reviewed and applied to compare index outcomes. To create CPFSI and CFSCI, an online survey with 1,000 consumers were conducted using previously developed measurements regarding food safety and food safety competency. Those measurements have confirmed with proper validity and reliability.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includes safety in food production and retailing, food safety threats, safety concerns with specific food categories, and trustworthiness of food labeling. Food safety competency includes foo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Based on reviewing the of previous literature on indexing, a total of eight different CPFSIs and four CFSCIs were created. Using ? -tests and ANOVA, the different indexes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ones. From the analyses, it was determined to apply equal weight when creating CPFSI and CFSCI. The CPFSI score and the CFSCI score for Korean consumers were 41.91 and 58.81, respectively, out of 100 point. Consumers` perceived level of food safety was lower than consumers` competency of food safety. Among the sub-constructs of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food safety threats and safety concerns with specific food categories were relatively lower than safety in food production and retailing and trustworthiness of food labeling. Among the subconstructs of food safety competency, food safety knowledge levels were lower than food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s. To achieve desirable levels of food safety in our society, both consumers` own efforts to reach higher levels of competency and government`s efforts to develop high quality system that can guarantee safe food environment are required. The CPFSI and CFSCI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these efforts.

Ⅰ. 서론
Ⅱ. 지수 산출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Ⅲ. 기존의 식생활 및 식품 관련 지수 고찰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