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64.151
18.118.164.151
close menu
KCI 등재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논쟁성의 실천적 의미: 쟁점의 논쟁성과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 관계
A Practical Meaning of Controversy o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egree of Controversy and Social Studies teacher` Role Orientation
오연주 ( Yeon Ju Oh )
시민교육연구 46권 2호 301-327(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58843

쟁점 중심 교육에서 논쟁성은 쟁점의 정의에 내포된 핵심 속성으로 언급되거나, 내용선정 준거로서 강조된다. 논쟁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상대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공공쟁점 중심 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쟁점의 논쟁성의 정도, 즉 논쟁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쟁점 중심 토론수업 실천에서 공공쟁점의 논쟁도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탐구하고자, 사회과 교사 집단에 나타난 공공쟁점의 논쟁도와 이들의 역할 지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89개교에 재직하는 201명의 중등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쟁점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을 학습자들에게 소개하고 공정하게 다루려는 이른바 ‘균형’ 역할 지향성 사회과 교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은 각 쟁점에 따라 유연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공공쟁점에 대한 논쟁성을 수용하지 않는 ‘거부’ 역할 지향성 교사의 비중이 높은 쟁점일수록 ‘균형’ 역할 지향성 교사가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쟁도가 낮은 쟁점을 다루는 사회과 수업일수록 왜곡된 토론학습 실천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논쟁도가 낮은 쟁점에 대하여 사회과 교사는 자신이 선호하는 입장과 관점을 학습자에게 수용하도록 하는 이른바, ‘특권’ 역할 지향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사회과 교사 집단에서 나타난 공공쟁점의 논쟁도와 각 쟁점을 다루는 토론수업에서 사회과 교사의 ‘특권’ 역할 지향성 간에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논쟁도가 높은 공공쟁점으로 내용선정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반대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논쟁도 높은 공공쟁점을 중심으로 한 토론수업일수록 진정성 있는 공공쟁점 중심 교육을 실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It has been emphasized that controversy is critical attribute in definition of issues and a important criteria for selection of contents on issue-centered education. Considering that controversy is build up in social context, We should explore the degree of controversy of public issues. This study tries to comprehend about a practical meaning of controversy o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In order to comprehend about a practical meaning of controversy,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ntroversy on public issues and the orient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role. It was made an analysis data of questionnaire of 201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in 89 middle or high school.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s. The first, while the highest rate of social studies teachers` role type of ‘Balance’ about given all issues, it is revealed that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the flexible orientation of role type in issues-centered discussion. The teacher`s ‘Balance’ role try to openly introduce all perspectives on the issues. But the more ‘Denial’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 come out, the less ‘Balance’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s exis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the ‘Denial’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 between ‘Balance’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s. The second, the more controversial issues are discussed, the less distorted practice of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is done. Because the higher rate of ‘Privilege’ teacher`s role reveal when the lower controversial issues are discussed in the classroom. There is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ntroversy and rate of ‘Privilege’ teacher`s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 Even though there are some opposite position or anxiety on higher controversial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come to conclusion. The higher degree of controversial public issue were discussed, the more authentic classroom discussion.

Ⅰ. 서 론
Ⅱ. 공공쟁점 중심 교육에서 논쟁성의 재음미
Ⅲ. 공공쟁점 중심 교육의 다양한 실천 지향성으로서 교사역할 유형
Ⅳ. 연구 방법
Ⅴ.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