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52.43.79
54.152.43.79
close menu
KCI 등재
국어학 : 향찰 "근(根), 성(省)"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n the Decoding to two Hyangchal
양희철 ( Hee Cheol Yang )
배달말 54권 1-27(27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0343857

이 글에서는 향찰 ``根``과 ``省``을 해독한 선행 논의들을 변증하면서 보완을하였다. 향찰 ``根``의 음독은 ``곤``으로 굳어지고 있지만, 이 ``곤``은 한자 ``根``의 중세음(``□``)이나 근세음(``근``)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 문제를 최근에는 일본음 ``곤``과한시에서 ``곤``으로 압운한 한 예로 보완하기도 하였으나, 향찰 ``昆``과 ``根``이한 작품에서 같은 ``곤``으로 쓰였을까 하는 회의가 대두되었다. 이 문제를 한자 ``근(根)``과 함께 ``산(山)``섭 3등에 속한 한자들이 오음에서는``온``의 운을 가지며, 이 음이 신라음에 들어온 사실이 향찰에서 발견된다는점에서, 나아가 중국 오음(곤)-신라음/고려음(곤)-일본음(곤)으로 이어지는한자 ``근(根)``의 고음의 선상에서 보완하였다. 또한 이 문제를 한자 ``근(根)``을``온``운으로 압운한 한시들(「수희공덕송」, 「차한송정운」 등등)이 발견되고, 「십이월초사일」의 경우에는 한자 ``곤(昆)``과 ``근(根)``을 그 고음인 ``곤``의 압운자로 함께 사용하였다는 점에서도 보완하였다. 향찰 ``省``은 세 부류로 읽혀 왔는데 각각 문제를 보인다. 첫째는 지명의이두에서 ``省``에 대응된 이두 ``蘇, 所, 述`` 등에 기초한 ``소, 쇼, 솔`` 등의 해독들인데, 한자 ``성/생(省)``의 음과 훈 중에서 어느 것으로도 ``소, 쇼, 솔`` 등을 설명하지 못한 문제를 보인다. 둘째는 한자 ``성/생(省)``의 유사훈 ``보, □`` 등으로읽은 해독들인데, 한자 ``성/생(省)``의 정확한 훈을 이용하지 않은 문제를 보인다. 셋째는 한자 ``성/생(省)``의 중세음 ``□/셩에 기초한 ``□, □, □, 셔, 셩`` 등의해독들인데, 향찰 당시의 한자 ``성/생(省)``의 고음을 암시하는 이두 ``蘇, 所``등의 음을 고려하지 않은 문제를 보인다. 이 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보완하였다. 이두 ``省``에 대응시킨 이두 ``蘇와 ``所``의 중세어 표기가 ``쇼``라는 점, 한자 ``소(蘇)``와 ``소(所)``가 속한 ``우(遇)``섭 3등한자들의 중국 고음의 운이 ``-jo/-iwo``로 재구된 점, 이두 약음자의 하나는한자의 종성을 생략한다는 점, 백제음은 오음을 따른다는 점, 한자 ``성/생(省)``을 포함한 ``경(梗)``섭 3등 한자들의 중국 고음이 ``-jeŋ/-ieng``운으로 재구되고, 이 운은 ``-joŋ/-iong``운으로 변하기도 한 점, 이 한자들의 일본음은``-jo/-io``운이라는 점 등등을 종합할 때에, 한자 ``省``의 고음 중의 하나는 중국고음(``sjeŋ`` 또는 ``sieng``, 오음은 ``숑``)-백제음/신라음(``숑``)-일본음(``쇼``)으로 이어지는 선상에 있으며, 이두와 향찰 ``省/쇼``는 한자 ``省``의 백제음/신라음 ``숑``을 이용한 약음자 또는 음반자로 정리하였다.

This paper aims at demonstration on the decoding to two Hyangchal(昆, 省). The result follow as;The decoding ``kon`` to Hyangchal(昆) does not have logical reason in thesound(``ken``, ``keun``) of the Chinese character(昆). This question is solved bythe sound ``kon`` of the Chinese character(昆) in O(吳), Silla, Koryeo, and Japan. And the sound ``kon``(昆, 根) is used as rhyme in many poems and in the poemSypiweolchosail. By this sound ``kon``, the question above is also solved. The decoding of Hyangchal(``省``) according to the sound(``syeong``, ``seing``) ofthe Chinese character(``省``) is different. This question is solved by the sound ``sio`` in the old sound ``siong`` of the Chinese character(``省``) which is coincidentwith the sound ``sio`` in Idu(``蘇, 所``), and is solved by the sound ``siong, sio``of the Chinese character(``省``) in O(吳), Baekje, Silla and Japan.

1. 서론
2. 향찰 '根‘
3. 향찰 '省'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